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17.10.22 21:56

10월정관_홍천관측소_M42&4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stro60D

CRUX170HD

FS60CB

가이드가 머리에 쥐나게 하는 .....

하늘은 새벽까지 대박이었고, 하늘이 좋을 땐 장비가 말썽입니다.

M42&IC434_1.jpg



  • 하원훈 2017.10.22 22:31
    이건 상당히 잘 나온 사진인데 이 구도로 찍은 사진들이 꽤 있지요. 근데 학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위는 별이 굻고 아래는 작고 약간의 작은 불균형이 보이는데 누가 설명해 주실 분 있으신지요.
  • 오광환 2017.10.23 07:40
    카메라 장착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중간에 자꾸 이상이 있나 만지면서 문제가 생긴거 같습니다. 정답 유격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이강환 2017.10.23 01:11
    겨울이 다가오니 웬지 눈내리는 듯한 느낌이^^
    근데 왜 아래위 별상이 다른지 저도 궁금합니다.
  • 박창목 2017.10.23 10:48
    정관에는 안개가 없었나보네요. 다행입니다. 카메라 장착이 느슨했었나봅니다(?)
  • 이상헌 2017.10.23 13:08
    새벽까지 문제점 때문에 씨름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가이드가 말썽이면 그냥 노터치로 해도 되지 않을까요? 촛점거리가 짧아서 괜찮았을 것 같는데요. CRUX 노터치가 불안한가요?
  • 오광환 2017.10.23 18:50
    크룩스는 오토가이드를 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 홍두희 2017.10.23 18:57
    최종축이 웜이 아니면 노터치가 훨씬 불리할거라고 생각(계산)했습니다
  • 이상헌 2017.10.24 12:58
    잠깐 부연설명을 해 주시면.....(꾸벅)
  • 홍두희 2017.11.04 07:39
    천망동 이만성님이 백러쉬를 없애려고 디스크타입을 만드신적이 있지요.
    백러쉬는 적도의 에서의 적경은 웜타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원주 300mm 의 디스크는 매초마다 300/86400인 0.00347mm 를 이동해야 합니다.
    모터가 1초에 한번씩 움직이지 않고 진동감소를 위해서 1초에 30번 움직인다면 0.00347mm 가 아니라 0.000115mm = 0.115um씩 움직여야 되고요.
    원통 디스크야 정밀하게 가공한다면 될수도 있지만,
    평기어는 그렇게 할수 없습니다. 원통디스크는 선접촉이 될수 있지만 기어는 웜이 아니고서는 모든 구간에서 선접촉이나 점접촉을 할수없습니다.
    어쩔수 없이 일부 면접촉면이 나올수 밖에 없고, 심지어 동젹전달이 끊기는 포인트도 나올수 밖에 없는 구조지요. 강하게 물려있다는 조건도 이유가 될수없고요.

    웜휠은 360를 이동하면서 매우 긴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한번도 그 경사(시간축에 대한 회전각도)가 줄어들거나 같아지는 곳이 없습니다. 언제나 증가합니다.
    웜휠의 지름이 300mm 이고 웜이 10mm 라면 웜휠이 360도를 도는 동안 접촉선(면)의 경로 거리는 300x10x3.14로 매우 길게 나옵니다.
    길이가 길다는 것은 분해능을 크게 할수있다는 이야기가 되지요. 분해능이 크다는 이야기는 정밀하다는 것이죠.

    한동안 그리고 계속 하모닉 기어에서의 동력전달 끊김과 동력전달 주기의 불일치(주기오차)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십자선을 넣은 고배율 안시로 별을 보며 흔들리는 상태를 볼까?. 적경축에 레이져포인트를 달아 멀리 흰벽에 쏘아 벽에 가서 포인트 궤적의 이동 속도를 볼까 등등....
  • 이인현 2017.10.23 13:33
    정관 날씨가 좋았나보군요. 참 매력적인 화각입니다~!
  • 오광환 2017.10.23 18:51
    처음으로 장비가 말썽을 부려서 당황했습니다. 좋은 하늘로 만족하려고 합니다.
  • 강문기 2017.10.23 13:53
    큰 화각이 보기 좋습니다. 새 마운트가 이제는 안정된것같네요.
  • 오광환 2017.10.23 18:53
    대략적인 방법을 찾은 것 같습니다. 무게추의 역할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피어보다는 삼각대를 가지고 한번더 테스트 하면 확실히 알 것 같습니다.
  • 조용현 2017.10.24 11:17
    화각 좋습니다.. 조금만 더 켰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네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8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8
438 딥스카이 M31-annotate version 8 file 안정철 2017.11.16 148
437 딥스카이 오랜만에 촬영들어갑니다. 22 file 안정철 2017.11.09 244
436 딥스카이 29회 별잔치 15 file 이인현 2017.10.29 160
435 딥스카이 오리온 대성운 영역 15 file 김광욱 2017.10.24 168
434 딥스카이 백조자리 12 file 강문기 2017.10.23 112
» 딥스카이 10월정관_홍천관측소_M42&434 14 file 오광환 2017.10.22 167
432 딥스카이 방내리번개 - 스파게티성운 8 file 이인현 2017.09.30 310
431 딥스카이 M27 4 file 하원훈 2017.09.27 96
430 딥스카이 ngc6888 + sh2-101 12 file 이인현 2017.09.24 159
429 딥스카이 나홀로관측 - 미완성 내로우밴드 2 file 이인현 2017.09.22 107
428 딥스카이 하모닉적도의 첫 촬영(IC1396) 12 file 박창목 2017.09.06 601
427 딥스카이 8월정관 _Tulip, IRIS입니다. 7 file 오광환 2017.09.04 111
426 딥스카이 방내리 번개 - ngc1333 6 file 이인현 2017.09.02 135
425 딥스카이 방내리 번개 - m33 4 file 이인현 2017.09.02 145
424 딥스카이 방내리 번개 - m31 6 file 이인현 2017.09.02 109
423 딥스카이 8월 정관 - 오징어는 언감생심 19 file 이인현 2017.08.28 172
422 딥스카이 7. 25~26 나홀로 번개 26 file 이인현 2017.07.27 327
421 딥스카이 Tulip Nebula Region in Cygnus 8 file 이인현 2017.06.19 222
420 딥스카이 NGC6888 12 file 이강환 2017.06.03 130
419 딥스카이 굴절망원경 총출동(5월 27일 번개) 9 file 박창목 2017.05.30 327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 38 Next
/ 3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