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15.12.26 01:13

오리온 대성운 + 런닝맨~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별사진 찍는 사람으로서 매년 한번은 찍어줘야지 하고 생각하는 대상 입니다.
크고 화려한 색상과 밝은 모습은 대충 찍어도 멋지게 잡을 수 있는 녀석이긴 합니다만....

더 잘찍어보고자 하면 정말 어려운 대상 입니다.   매번 찍고 이미지 처리를 해봐도 모자름을 느끼게 하는 대상.
   - 3색 성운의 조화로운 처리 (푸른 성운기와 붉은 성운,  그리고 배경 성운까지)
   - 인공위성의 공습!
   - 명부와 암부의 계조차이 극복
   - 복잡한 성운 구조의 표현   

뭐....올해도 찍어봤습니다만,  10인치 반사망원경 스파이더 개조건의 문제로 인해....매우 아쉽네요.  
0.5T 카본 더블vane 으로 장착하고 처음 찍어본건데,  강성이 좀 약하네요.   텐션을 넣는 추가개조가 필요할 듯.   

명부/암부 계조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HDR Composite 프로세스를 적용했는데,  (2분, 10초)
트라페지움을 살리기 위해서는 10초도 과다노출이라 다음에 할때는 2초 짜리 샷도 넣어줄까 생각중 입니다.
원샷으로 찍으니 너무 편하네요....아 이거 귀차니즘에 빠지면 안되는데...

# Date : 2015/12/19
#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 Equipment
   - Mount : Mesu-200
   - Telescope : 10inch Astrograph F3.6  (Zambuto main mirror with ADT 3inch coma corrector)
   - Camera :  Fuji X-E1 mirrorless
# Processing : Pixinsight(Stack, 노이즈처리, HDR Composite 등)
# Exposure  : 120 Sec X 32,  10 Sec X 32  (ISO1600)   

m42_gwkim_20151219_hdr_s.jpg



  • 이인현 2015.12.26 12:07
    hdr특유의 몽환적인 느낌이 잘 나타나 있네요.
    장단으로 찍으실 때 다크 노출시간은 장에 맞추나요?
    아님 다크 없이 픽스에서 다 처리한다 그러셨던가..
  • 김광욱 2015.12.26 17:22
    Mono CCD 일때는 다크를 Pix 에서 SW 처리하고 Stack 하곤 했는데....
    Flat 은 모든 경우에 처리해야 하고요 (Flat 촬영 or SW Flatten) Bias 는 찍으면 좋긴 할텐데 귀차니즘에.
    Dark 는 처리하는게 좋지만 가이딩 할때 Dithering 옵션을 이용하고 촬영장수를 많게 하면 Stack 할때 없앨수 있습니다.
  • 김신구 2015.12.29 11:03
    어마어마하네요...
  • 이상헌 2015.12.29 12:55
    CCD 나 DSLR 이나 비슷비슷한데요. ㅎㅎ
  • 이강환 2015.12.30 20:18
    미러리스 카메라로 어떻게 이런 사진을...
    고수의 손길이 확실히 다르네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94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807
398 딥스카이 M64 4 file 이인현 2022.04.09 144
397 딥스카이 m64 2 file 이인현 2024.03.30 32
396 딥스카이 M64 Black Eye Galaxy 3 file 안정철 2011.03.13 1196
395 딥스카이 M64 Black Eye Galaxy 5 file 공준호 2013.07.09 2334
394 딥스카이 M66 9 file 이인현 2019.02.13 191
393 딥스카이 M66 4 file 이인현 2024.03.04 25
392 딥스카이 M67 file 박기현 2011.12.24 1565
391 딥스카이 M77 Supernova 4 file 하원훈 2018.12.23 81
390 딥스카이 M78 8 file 김광욱 2014.12.22 815
389 딥스카이 M78 - M51 - M101 5 file 이인현 2018.03.14 225
388 딥스카이 M8 & M20 3 file 하원훈 2015.07.23 125
387 딥스카이 M8 etc 5 file 오광환 2021.06.14 91
386 딥스카이 M8 동참, 사실은 NGC6526을 찍다보니 눈에 익은 성운이 잡히네요. 3 file 하원훈 2016.05.09 133
385 딥스카이 M8, M16, M27, M56 2 file 하원훈 2022.05.30 95
384 딥스카이 M8, M20, M21 3 file 하원훈 2018.06.26 89
383 딥스카이 M8, M20, Veil 4 file 하원훈 2022.08.14 103
382 딥스카이 M8-M20 5 file 안정철 2016.05.05 103
381 딥스카이 M8-M20 6 file 안정철 2020.10.04 337
380 딥스카이 M81 1 file 박기현 2011.12.23 1545
379 딥스카이 M81 3 file 이인현 2022.12.28 125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 38 Next
/ 3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