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목표했던 바를 미루어야겠군요.

초보가 다루기에는 버거운 주제를 정했던 것 같습니다.

90mm 화각으로 전천을 찍는 것이 목표였는데

해보니 문제가 한둘이 아닙니다.

1.     카메라 렌즈와 풀프레임ccd는 좋은 조합이 아니더군요. 많은 렌즈를 테스트했지만 별상과 해상도 수차 모두가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2.     전천 모자이크를 위해서는 평면이 아닌 원구에 사진을 매핑해야만 합니다. 특수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얘기죠. 더욱이 광시야인 관계로 평면인 ccd flatten되어있는 원본 조차가 왜곡이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잡지 않으면 모자이크 품질을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3.     적도지역은 그나마 낫지만 극지역으로 갈수록 distortion이 심해져 제대로된 매핑을 위해서는 많은 기법이 동원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아마추어의 영역이 아닌 것 같더군요.

결국 방법은

1.     좋은 망원경으로

2.     가능한 장촛점을 써서

3.     천체매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엄청난 노가다를 통해(사진 한장당 수백개의 매핑포인트를 찍으면 어느 정도는 되거든요)

하면 됩니다.

문제는 이것은 개인이 할 일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서 일단 나중에 생각하기로 하고 지금은 프로젝트를 접습니다. …..

우울하군요

남들이 안하는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인데 초보가 뭘 모르고 덤빈 것이네요.

 

그래서 남들 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습니다.

그 연습샷입니다.

사진이 찍히는 동안 술잔을 기울입니다.

한잔은 집어친 프로젝트를 위하여

한잔은 이미 초라해진 나를 위하여

그리고 한잔은 우주와의 영원한 사랑을 위하여

마지막 한잔은 미리 알고 정하신 하나님을 위하여

 

FSQ106

STL11000M

208 Ha

서울

연무가 끼어있고 베델게우스는 보이지만 오리온의 허리는 잘 안보이는 상태 반달과 함께

 

 

 

 

  • 김광욱 2010.10.20 11:37

    106 을 영입하셨군요.   대가들의 레퍼런스 기종인 11K + FSQ로 좋은 작품 많이 부탁드립니다.

  • 윤석호 2010.10.20 12:23

    승부기질이 무척 강한 사람?  뭐 그걸 가지고 초라해진다고 하나요.^^

    투자한 시긴과 노력을 하늘로 보낸 것이 좀 서운할 테니 다음주에 위로주 한잔 사지요.

     

    20분 8매이면 2시간 40분인데, 옥상 나무 바닥이 생각보다 진동이 없나보네요.

    그나저나 106은 강탈해 온 것 같은데...

  • 안정철 2010.10.20 13:09

    장비영입 축하드립니다..

    저도 참 갖고 싶은 장비인데...쩐이~~~

    서울하늘 아래 집에서 도 이렇게 이쁜 장미가 나오네요..

    홍대 소주 한잔이 그립습니다..

  • 홍두희 2010.10.20 13:09

    대상 이름은 술과 함께 먹었나???

    연습이라도 이름은 있어야지요~~

  • 오광환 2010.10.20 14:23

    말이 안되는 것 같지만 사실 제가 오래전에 전천을 찍어보려는 헛된 시도를 한 적이 있습니다. 필름카메라 시절이었구요. 사진을 몇장 찍은 것을 이리저리 아무리 맞추어봐도 안되어 많이 실망했겄든요. 결국 이리 오리고 저리 오리고 하다가 포기하고는 이제 별 안본다는 생각을 했지요. 오봉환샘께서 전천을 대상으로 하신다기에 정말 성공하시길 바랐습니다. 아쉽지만 전천은 아니어도 가능한 부분만 모자이크해도 대단한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술적인 면에서 부족하다고 하더라도 찍는 과정이 즐거우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 이후로 거저 모이는 것이 좋고 같이 별을 보니 좋고 이야기하니 좋고 옆에 관측하시는 분 장비 구경하니 좋고 입니다. 가끔 얻어먹는 컵라면 간식도 좋구요. 전 서천동 회원님들 관측하는 모습만 봐도 즐겁습니다.

  • 하원훈 2010.10.20 17:52

    구면을 평면으로 표시한다는게 쉬운 일이 아니겠지요. 어차피 전체를 표현하는 것은 입체가 아니면 안되니  은하수라도 길다랗게
    또 세밀하게 줄여서 해보심이 어떨까요.

    골치 아픈 일은 안 하는게 좋습니다. 정신건강을 위하여. 이건 별을 오래 보기 위한 저만의 생각.

  • 오영열 2010.10.20 17:59

    축하드려요...^^ 꿈은... 언젠가 이루어 지실거여요...^^

  • 공준호 2010.10.23 18:44

    지금 접었다고 아주 접는게 아닐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장미 참 예쁘게 피우셨네요. ^.~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3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3
379 성운 SH2-129 박쥐 성운 1차 수정, 추가 NGC7000 1 updatefile 오광환 2024.06.15 25
378 성운 베일 성운(2022.8.28 찍은 거) 재보정 2 file 오광환 2024.04.20 33
377 성운 안타레스 부근과 푸른말머리 2 file 오광환 2024.04.16 35
376 성운 Iris 4 file 오광환 2024.05.15 42
375 성운 Bubble Nebula ( ngc7635 ) 4 file 오광환 2024.06.05 42
374 성운 초승달 성운 & Silver streak galaxy 3 file 오광환 2024.05.11 46
373 성운 징마성운 4 file 박창목 2024.02.21 48
372 성운 거품성운과 사슴벌레 + 돌고래머리 성운 추가(23.10.27) 6 file 오광환 2023.10.25 53
371 성운 M16 4 file 오광환 2022.05.05 56
370 성운 스파게티 성운입니다. iC405, 410, 417추가 3 file 오광환 2024.01.09 62
369 성운 Horsehead and Flame nebulas 5 file JeromePINOT 2024.01.13 62
368 성운 물고기 머리 성운( iC1795), 거미와 파리 추가(11/17), 원숭이 머리 추가(11/18) 8 file 오광환 2023.11.15 63
367 성운 오리온 성운과 말머리 성운 7 file 오광환 2024.01.14 67
366 성운 M16,M17 6월홍천 번개 결과물입니다. 7 file 오광환 2018.06.17 71
365 성운 마법사 성운&아령성운 3 file 오광환 2023.10.28 72
364 성운 M8 & M20 7 file 오광환 2018.06.17 73
363 성운 석호성운입니다. 3 file 오광환 2022.08.23 81
362 성운 겨울에 찍은 것입니다. _다시 처리합니다. 1 file 오광환 2018.05.05 84
361 성운 크리스마스트리 성운_12/23 1차수정 6 file 오광환 2023.12.20 84
360 성운 홍천에서 맑은 공기와 더불어 NGC1499 + M31 6 file 오광환 2020.10.19 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9 Next
/ 19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