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며칠전 정모때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지요.
오늘은 제가 아는 물리/수학 도사와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현재 지구위의 카메라로 먼 천체의 장시간 노출사진을 찍으려면 우리가 흔히 표현하는 별의 일주운동이 찍힙니다.
일주운동이 아닌 점상 사진을 원하면 지구의 자전방향과 반대되는 동리한 속도로 카메라를 회전해야 하지요.
적도의가 하는일이 그일 입니다.
만일 지구가 자전을 하지 않으면(공전은 하고) 먼 천체의 장시간 노출사진은 점상촬영이 되겠고요.

지구상공의 위성들은 지구의 자전과 무관하게 오직 지구 중심의 힘작용으로 지구를 돕니다.

달은 현재 지구를 한번 공전할때에 자전도 한번 합니다. 그래서(어느것이 원인이고 어느것이 결과인지는 잘 모르지만)
칭동이라는 작은 조건을 빼면 지상에서는 언제나 달의 한면만을 볼뿐이죠.
만일 달이 자전을 하지 않는다면 달표면에서 하늘로 향한 고정촬영은 점상촬영이 되겠지요.  

원으로 돌던 타원으로 돌던, 낮은 궤도롤 돌건 높은 궤도로 돌건

1)지구위 위성이 자전을 하지 않는다면 지구상공의 위성에서 먼 천체로 향한 카메라의 노출 사진은 점상이 될것이고, 
2)지구와의 통신을 위해 지구로 언제나 안테나의 위치를 고정한 경우(정지위성이라면- 아마도 제 추측으로는
지구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달의 경우처럼 정지궤도의 위성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을 겁니다-안테나만 시계축에 
물려 놓았다면 모를까)라면  일주사진이 찍히겠지요.

허블은 지구에 대해서 자전을 할까??

안할것 같습니다. 지구와의 통신은 근거리니까 여러개의 안테나로 할것같고요.
울트라딥같은 사진도 아주아주 미세한 조정만 했을것 같아요.

ISS 도 자전은 안할것 같고요.( 아니면  태양 판넬이 한방향으로만 있으니 태양동기위성일수도....)
( 지구 상공의 태양동기위성은 지구주위를 돌면서 태양을 한번돌때(1년)마다 1번자전하고(마치 지구와 달처럼 태양과 위성),
 지구 상공의 허블망원경(허블위성)은 지구를 돌면서 태양을 한번돌때도 자전은 안하는 샘이죠)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4
126 [re] [관측회참석]의정부4시경출발 변성식 2002.09.24 4466
125 참 참 참 부러운 망원경 1 file 홍두희 2011.10.15 4472
124 이번달 정관은 pass 2 홍두희 2012.12.14 4501
123 국제 어둔밤협회....ㅋㅋㅋ 2 file 김준호 2007.09.28 4513
122 26일(금) 전북 완주 나들이 3 file 홍두희 2013.04.28 4515
121 (이벤트)박기현님에 이어 3 file 홍두희 2013.08.01 4519
120 노트북 가방 남는거 있으신분... 11 한호진 2013.12.26 4530
119 회장님 질문입니다~~ 2 박기현 2012.11.27 4530
118 신입회원 박은정 2002.09.23 4533
117 회장님~ 2 원덕중 2013.02.11 4536
116 [re] Bubble성운...160mm 반사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했더군요. ^.~ 1 file 공준호 2009.08.01 4545
115 기상청 예보는 양평, 홍천 다 맑은 것으로 나오네요. 2 오광환 2013.05.04 4557
114 그냥...1(1월28일),15 3 file 홍두희 2013.01.15 4559
113 기대되는 물건~ 6 file 오영열 2012.07.24 4563
112 작은 프라스틱 기어 재생 5 file 홍두희 2013.09.25 4572
111 하하하 1 조아영 2013.08.28 4585
110 의미 깊은 무리수 3번째를 오늘 꼽았습니다. 3 홍두희 2013.07.27 4589
109 천체사진만 사진이냐? 8 file 한호진 2012.10.15 4595
108 (1)망원경코팅후 반사경상태 변화 관찰 050808 2 file 홍두희 2005.08.08 4601
107 또 포물선, 이번엔 포물면. 7 file 홍두희 2012.09.26 4603
Board Pagination Prev 1 ...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