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젓 글 후속이네요
어제는 일찍 들어가서, 딸아이 방을 같이 꾸몄습니다.
자기 방을 이쁘게 꾸며달라는 AR을 받고, 와이프님은 옥쑝에서 인조나무, 안락의자, 패드를 사다 뒀습니다.
초5 학생이 안락의자를 6각렌치, 드라이버 따위를 제방에서 갖구 나와서 혼자 조립하고, 패드배치도 혼자 해치웠습니다. 헐.
퇴근 후에 힘이 달려 꽉꽉 못 쪼인 부분만 조여 줬습니다. 잘 만들데요 ㅋㅋ
※ 혼자 만든 안락의자와, 패드 배치... 사진위에 빨강색으로 나무배치 위치를 미리 표기한 거랍니다
인조 나무는 종이 화분에 심으려고 했는데, 지지하는 부분을 상의해서 조약돌, 자갈로 채우기로 했는데, 집에 있는 돌이 모자라서
저녁에 돌 줏으러 나갔다 왔슴다. 마침 인근에 하얀 자갈이 깔려 있는 곳을 제가 발견했기에.
딸네미와 오붓이 마실을!!!
하얀 자갈을 함께 줏으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한 시간이 너무 좋았습니다.
( 건널목 건널때 주의사항, 난폭 운전자, 자갈이야기, 자갈에 반짝이는 석영이야기, 달이야기, 달위에 목성이야기, 달을 관통해 있는 비행기 구름이야기 등등 )
음. 줏은 자갈은 깔끔하게 물세척하고, 말리고, 종이 화분에 채우고... 나무 세우고...
1시간 남짓한 시간이었지만, 뭔가 뿌듯하네요~
나무 사진은 미쳐 못 찍었는데, 돌아가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나무 작업 사진 추가 -- 20165년 3월 25일
오늘은 아파트 마당으로 장비 깔고 달이랑 목성 좀 볼까 합니다. 장비 사진도 찍을겸해서요~_~
어제 딸내미가 목성을 묘사하기를 다른 별보다 더 번져 보인다고 했는데, 육안으로 보여서 그렇게 표현한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맨눈으로 어느 방향이 더 번져보이는지 묻고, 망원경으로 확인해 볼까 합니다. ( 이것도 좋은 추억이 되겠죠 ^^, 보이면 좋고, 아니면 말고 )
만세
딸의 생각에 동조하기 위해서 잠깐 계산해 보았습니다. 목성 위성의 흔적이 눈에 보인다 ! !
눈의 분해각을 조사해 본적이 없었는데 미자르 이중성으로 비교해 보기로 했습니다.
목성의 위성이 미자르-알코르 만큼 벌어질까?
기초 자료를 찾았지요. 미자르는 14분 각거리, 이것은 제가 돗수있는 안경을 끼고 보면 보입니다.
목성이 충을 며칠전에 지났으니 지구-목성의 거리는 목성 공전 반지름-지구 공전 반저름이 되지요.
목성의 공전 반지름은 5.45~4.95au, 대충 5.3au로 잡으면 4.3au가 나오고 150
Mm(Mkm정정) (1억5천(만) km=1au) 를 곱하면645
Mm(Mkm정정), 밝은 갈릴레이 위성이200,000(400,000 정정)km~2,000,000 km 목성근처에 있으니 양쪽에 최대한으로벌어져 있으면 3,000,000km = 3
Mm.(Mkm정정)지구에서 645
Mm(Mkm정정) 거리에 있는 길이 3Mm(Mkm정정) 의 각거리는 tan A = 3/645 = 0.00465 , A = 0.266도 = 16분각 .미자르 이중성의 각거리는 14분이라고 하니까 하니까
목성의 위성을 눈으로 볼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겠네요.
목성의 위성의 밝기가 얼마냐가 문제인데 최소한 6등급은 되어야 할것 같은데 DATA 가 없네요.
이오의 표면 반사율이 목성보다 2배정도 밝다고 하니까 목성(최대 -3)과 위성의 크기 차이로 추론해야 겠어요
(목성 평균 반지름 50,000Km, 이오 지름 3,542Km) - 계산은 조금 있다가...
위키피디아 내용에 '보인다' 가 보입니다. 딸 만세 ! ! @ ! !
-
12시37분 추가
목성 위성이 충분히 밝습니다
목성 지름 100,000
이오 지름 3,542
면적비 (100,000/3542)^2 = 28.23^2 = 797.08
광도 1등급당 2.512 차이 (2.512)^5= 100.02
일단 목성과 이오가 단위면적당 같은 밝기라면(나중에 2배 계산함),
-3등(목성)/797
-2등/317
-1등/126
0등/50
1등/20
2등/9
3등/3.17
4등/1.26
5등/0.5
목성과 위성이 같은 표면 밝기라고 해도 5등성보다 밝음^^
-
3월25일 14시35분 추가
백만km 를 Mkm 로 써야 하는데 k 를 빼고 Mm(이렇게 하면 백만배가 아니라 천배)를 썼었네요
정정 했습니다. 비례식(각도)에 사용했기 때문에 계산 결과는 같습니다.
1AU 인 1척5천만 km 가 150 M(10^6) k(10^3) m 니까 150 G(10^9) m 라고 쓸수있겠네요(=150기가메타)
10AU 는 1.5테라미터(Tm) ㅋㅋ.
이제부터 목성까지는 기가미터, 토성부터는 테라미터 거리라고 부릅시다 ^g^ // ^t^
-
14시58분 추가
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
위키피디아 토성내용에 테라미터 표현이 있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59.879 AU
-
15시6분 추가
위의 위키피아는 한글이며
한글 위키피아에서는 궤도둘레 항목에서 목성까지는 km 단위, 토성는 Tm 단위를 썼고,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대부분의 화목토천해명을 Gm 단위로 쓰고있네요.
-
15시33분 추가
어제 저녁 퇴근하니 동쪽에 둥근 달이 떠오릅니다.
둥근 달속에 토끼 두마리의 긴 귀도 보입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어서 화들짝 놀랐습니다.
어 왜이렇게 자세히 잘보이지? 내가 가진 정보는 달의 지름이 약 0.5도(30분각)인데
달을 20칸으로 나누어도 보일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30분각을 20개로 구획을 나누어보면 내가 눈으로 달을 구분해서 볼수 있는 분해능이
1.5분각이라는 것인데 . 미자르의 14분각은 쉬운것 아닌가?? @@@@@@@
무엇인가 제 계산이 잘못된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집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무거웠습니다.
집사람의 스마트폰으로 천문 앱을 돌려보았습니다. 달과 목성(위성), 그리고 미자르
다행히 제가 기억하고 알고있는 정보가 천문어플의 data와 틀리지는 않았습니다^^
아침에는 먼곳의 아파트 옥상의 폭과 그곳까지의 거리를 추정해서 0.5도각의 크기를 생각했습니다.(해와 비교)
눈으로 보이는 달과 해는 정말 크게 느껴진반면 0.5도각은 눈으로 볼때 작더군요. 멀리 아파트 옥상근처의 창틀을
비교하면 5분각-10분각 정도가 구분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있는 달에서는 좀더 구분이 가능할것 같은데 우리눈의 시세포간격과 등등
또 다른 숙제가 생기네요(제가 처음 언급한 눈의 분해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