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255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후보 단일화에 대한 긴급뉴스를 보고
새벽 1시경 별자리를 보기 위해서 쌍안경을 들고
저의 집 옥상으로 올라갔습니다
먼저 오리온과 마차부자리를 확인하고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프로키온을 연결하여
대삼각형을 만들어 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쌍안경으로 오리온 자리 삼태성 부근을 보게 되었는데

희뿌연 먼지 덩어리 같은 것이 보였습니다
분명 별은 아닌 것 같고, 성단으로 보이지도 않았습니다
순간 어쩌면 저 것이 성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급하게 방으로 돌아와 컴퓨터 별바라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가 본 위치를 확인한 결과 그곳에 M42이라는
메시아 번호가 표시되어 있었고
그곳이 그 유명한 오리온대성운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하, 성운과 성단은 이렇게 찾는구나!
욕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황소자리에 있는 게성운(M1)과 안드레메다 성운(M31)을
찾아보려고 하였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쌍안경으로는
더 이상의 성운을 찾을 수 없더군요

그래도 너무 기뻤습니다
한달전만 해도 아무것도 몰랐는데
이젠 겨울철 별자리와 일등성 별자리는 어느 정도 알게 되었고
별자리판을 보고 성운과 성단의 위치 찾는 법을 조금을 알게 되었으니까요

그때 문득 사자라리 유성우라는 말이 떠올랐습니다
저의 집 옥상에서는 사자자리 레굴르스만 보이는데
그쪽으로 시선을 돌려 약 10분간을 유심히 살펴보았는데
유성이 보이지 않더군요

그래서 쌍안경으로 황소자리 히아데스 성단을 쳐다보고 있는데
갑자기 비행기 불빛 같은 것이 제 옆을 스쳐지나가는 느낌이 들었고
순간 고개를 돌려 그곳을 바라보았는데
불 붙은 솜뭉텅이가 사뿐히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저는 어릴적에 별똥별이 떨어지는 모습을 자주 보았지만
푸른빛의 유성이 휙하고 떨어져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이
전부였는데 제가 어제 본 유성은
정말 크고 붉고 가벼워 보였습니다

유성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보아 사자자리 부근이었던 것 같은데
사자자리 유성우인지, 아니면 다른 유성인지는 잘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정말 장관이더군요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4
146 New Mexico 원격천문대 초청 2 file david 2017.03.13 455
145 디지털 액자 2 file 최종운 2015.08.14 455
144 각도(angle) 을 생각함. 1) 1회전을 360으로 정한것이 최선일까? , 2)지평선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천체의 적위는 얼마일까? -->; 1);OK. 2);적도가 아니면 안됨. 3 file 홍두희 2017.03.04 454
143 2020년 서천동 회비 결산중 3 홍두희 2020.12.15 449
142 이번주 무섭겠다 덜덜덜 아마도 영하20도 이하. . . 4 홍두희 2016.01.07 444
141 어제 한일, 오늘 할일~ 4 file 오영열 2016.03.24 443
140 저 득남했습니다^^ 6 file 신초희 2015.06.16 443
139 적당히 큰 자연수를 작은 자연수들의 곱들과 나누기로 나타내는 방법을 생각한 수학자가 있었을까? 1 홍두희 2019.03.18 442
138 2022년 결산중 12월28일 현재 홍두희 2022.12.28 439
137 별잔치 사진 올려주세요 9 김광욱 2018.10.18 438
136 2021년 서천동 회비 결산 홍두희 2022.01.13 437
135 제임스웹 망원경 위치... 홍두희 2021.12.26 437
134 dd-3 핸드콘트롤러의 전원 플러그는 좀 다릅니다... file 홍두희 2015.06.16 436
133 이쁜 시리우스 무지개 4 file 홍두희 2018.03.17 435
132 10^100 (구글 모토) 과 (19 x 19)! = 361 ! = 1.4x(10^768) 2 file 홍두희 2016.03.09 433
131 홍천관측소에서 여러분이 적도의 처분하라고 하셨는데... 오광환 2019.03.10 429
130 맨눈으로 에어리링(에어리디스크와 1,2차 회절링)을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성공 -> 설명 추가 ->금성보다 더 밝은 천체가 필요 3 file 홍두희 2017.05.19 429
129 별보는 취미를 가지면서 기회란? 홍두희 2019.03.30 427
128 2016 올해의 천문인 , 300,000 7 file 홍두희 2016.11.07 424
127 또 원뿔. 이번에 쌍곡선 더하기 각운동량, 포텐샬에너지, 태양계외 유일무이 천체인 오무아무아(오우무아무아)에 대해서. 2 홍두희 2021.12.15 423
Board Pagination Prev 1 ...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