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19.12.01 01:49

ic4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중 날씨가 잠깐 좋아서 달렸는데 그럭저럭 좋은 하늘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양평 벗고개의 동남쪽에 위치한 스키장이 개장을 해서 그런지 24시 정도 까지는 광해가 올라오더군요.

ic410 은 마차부자리 중심부쪽에 위치한 성운으로 올챙이 2마리로 유명한 대상 입니다.
일단 S2 필터가 없어서 H-alpha 및 O3 필터만 이용해서 처리했습니다.

기본처리가 된 h-alpha 및 O3 이미지를 pixelmath 로 RGB 이미지를 만들고 
해당이미지에 다시한번 ha 를 L 이미지로 덧씌워서 디테일 및 작은 별상을 확보하고
기존엔 안쓰던 Pixinsight 의 Local Histogram Equalization 프로세스를 활용해서 디테일을 좀 살려봤습니다.
Local Histogram Equalization 프로세스가 잘 안먹었는데 이미지 장수가 좀 늘어나니 효과가 있네요.

# Date : 2019/11/28
# Location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 Equipment
   - Mount : 자작하모닉2호
   - Telescope : 자작 10인치 반사 (F3.6)
   - Camera :  QHYCCD 695a with Astrodon H-alpha(5nm), O3(5nm) filters
# Exposure  : Ha 400sec x 12,  O3 400sec x 12
# Processing : Pixinsight

ic410_hoo_gwkim_28nov2019_s.jpg




  • 이인현 2019.12.01 12:16
    벗고개 날씨 좋았나 보네요.
    올챙이들의 우주유영이 입체감이 느껴집니다.
  • 김광욱 2019.12.07 00:19
    좀 아쉽긴 했습니다만.....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그래도 경기도권 최상.
  • 조용현 2019.12.01 17:33
    여기 올챙이들은 건강하고 싱싱해보입니다~~
  • 김광욱 2019.12.07 00:19
    고추장에 좀 더 무친 색상이죠
  • 박창목 2019.12.02 09:37

    색감 찐하고 올챙이가 정말 입체적이군요. 광해를 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협대역이 답인거 같네요. 망원경 두대로 Ha 랑 O3 같이 찍으면 좋을거 같은데 ㅎ

  • 김광욱 2019.12.07 00:20
    촛점거리 1000mm 급 경통을 하나더 운용하기 쉽진 않죠 ㅎㅎ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나홀로 하트성운

    IC1805 Heart Nebula 하트성운 HOORGB 2019. 12. 20~21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관측소(-13°C) Samyang 135mm F2.0 / ZWO ASI183MM Pro(-20°C gain 150) / Ioptron IEQ45 Pro guide scope 120mm (F4) / QHY5-III 178M / PHD2 guiding Optolong RGB 각 5...
    Date2019.12.22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156
    Read More
  2. M42 1st trial of 2019

    주중에 나갔던 번개관측에서 IC410 을 다 찍고나서 바로 집에갈까 하다가 노출시간이 그리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 오리온대성운을 다시 시도해 봤습니다. 매년 한번씩은 찍어보려는 대상. 올해의 주안점은 HDR Composite 를 제대로 해보자는 것. 1차 시도는 했...
    Date2019.12.06 Category딥스카이 By김광욱 Views168
    Read More
  3. 재도전 ! ~~ 캘리포니아 성운(California nebula, NGC 1499)

    월요일 퇴근하고 벗고개에 다녀왔습니다. 졸려졸려하네요~~ 지난번 정관때 리듀서의 백포커서 거리가 나오지 않아서 일부만 촬영됐던 캘리포니아를 어댑터를 수정하여 다시 촬영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는 화각의 구성은 성공했으나 리듀서가 없을 때보다 비네...
    Date2019.12.04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154
    Read More
  4. ic410

    주중 날씨가 잠깐 좋아서 달렸는데 그럭저럭 좋은 하늘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양평 벗고개의 동남쪽에 위치한 스키장이 개장을 해서 그런지 24시 정도 까지는 광해가 올라오더군요. ic410 은 마차부자리 중심부쪽에 위치한 성운으로 올챙이 2마리로 유명한 대...
    Date2019.12.01 Category딥스카이 By김광욱 Views263
    Read More
  5. 노출시간 부족한 올챙이 성운(Tadpole nebula, IC 410) SHO합성

    그날(22일) 촬영한 사진 하나더 올립니다. 협대역 필터로 촬영했는데 시간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노이즈 만땅입니다. 이미지 처리하는 방법 숙달겸해서 해봤네요~~ SHO 방식 색상 합성했습니다. [2019.11.23. 새벽. 방내리 관측소] Telescope : Pentax ...
    Date2019.11.27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194
    Read More
  6. The Horsehead Nebula

    간편 모니터 밝기 확인 이미지 붙입니다. 아래 설명대로 안되면 모니터 설정 잘못되신겁니다. ------------------------------------------ 천체사진가들이 참 좋아하는 대상중에 하나인 말머리 성운 부분을 찍어봤습니다. 알니탁의 방해와 수많은 먼지 더스트...
    Date2019.11.26 Category딥스카이 By김광욱 Views181
    Read More
  7. 엉망구도 캘리포니아 성운(NGC 1499) 그리고 방내리 풍경

    금요일 퇴근 후 날이 좋아 방내리에 갔더니.... 룸이 꽉 찼습니다. 하, 이, 박, 오, 김, 두 님들께서~~ 변두리로 밀려 박교수님과 촬영을 해봤습니다. 리듀서/플래트너 거리 테스트 겸해서 갔는데 하늘이 너무 좋아서 속상했습니다. 질퍽거리다가 캘리포니아를...
    Date2019.11.25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165
    Read More
  8. NGC253

    영문이름보다는 ngc253 으로 알고 있었는데, 단지 조각가 자리에 있어서 조각가 은하 라고 불리우는 상당히 큰 대상입니다만 남쪽 하늘에 있다보니 자주 찍기는 어려운 대상인데 한번 시도해 봤습니다 근데 실망이 앞서네요. 일단 촬영 매수가 너무 적어서 디...
    Date2019.11.25 Category딥스카이 By김광욱 Views185
    Read More
  9. 2019년 11월 22일 결과물

    늦게 도착해서 좀 바쁜 출사였지만 어찌어찌 찍은 결과물입니다.  8인치 반사와 4인치 굴절의 조합입니다.  금요일 밤에 보았던 이상한 구름은 중국 위성발사 흔적인거 같습니다.  찾아보니 그 시간에 중국에서 위성로켓을 발사했더군요.  - 촬영 일시 : 2019....
    Date2019.11.25 Category딥스카이 By박창목 Views650
    Read More
  10. 11월 미니정관 - M33 & NGC2170

    M33 Triangulum Galaxy 삼각형자리 바람개비은하 2019. 11. 22~23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관측소(-5°C) WO FLT110 Light(front masking A100mm F7.7) / WO Field Flattener 4 ZWO ASI183MM Pro(-20°C gain 150) / Ioptron IEQ45 Pro guide scope Astrom...
    Date2019.11.25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251
    Read More
  11. 소행성 Vesta - 191122

    소행성 Vesta는 22일에 6.5등급으로 고래자리 머리의 람다세티 부근에 있었습니다. 쌍안경으로도 찾아 보았으나 희미하여 확신은 못하겠네요. 사진을 찍고보니 움직임이 작아 처음엔 별인줄 알았습니다. 35분이 지나니 약간 이동한 것이 확인됩니다. 합성은 별...
    Date2019.11.24 Category태양계 By하원훈 Views137
    Read More
  12. 홍천하늘 말머리, 마귀할멈, 백조심장

    RST-135 FS60CB+REDUCE guide : miniborg+qhy178C color 300Sx7, halpha 600Sx5 Maxim, PIX, Photoshop
    Date2019.11.24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1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