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08.10.30 22:45

Helix Nebul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금요일 갑자기 몰려든 구름으로 인해 시작하다만 Helix 성운을,
주중 다음날 강의부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날씨가 너무 좋아 이번주 월요일 다시 나가서 마저 촬영하였습니다.
고정관측소가 있었다면 정확한 동일 화각으로 몇일에 걸쳐 여러장 정밀촬영하겠지만,
떠돌이 사진사(오서방은 사진"작가님"이라고 하기도 하지만)이기에, 회전각이 생겼고, 따라서 해상도도 떨어집니다.
무엇보다도, 이 Helix는 너무나 낮은 남쪽고도에서 움직여서,
양평마을의 광해에 너무큰 영향을 받는것 같습니다.
남쪽광해가 없고 고도가 높은 그런 장소에서 여러장 촬영해보고싶은 대상입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거칠고 해상도도 떨어집니다.

FSQ106ED + ST2000XM
2008. 10. 24(금)
Ha : 600초 x 2 (bin1)
2008. 10. 27(월)
Ha : 600초 x 1 (bin1)
RGB : 400초 x 2 (bin1)
  • 안정철 2008.10.30 23:01
    멋진 사우론의 눈 같습니다.. 푸른 눈동자도 선명히 보이는데요.. 그날 저도 임도에서 사진 찍고있었습니다...
  • 오영열 2008.10.30 23:59
    이으후~ 선배님 이산도 올릴까요? ^^

    선배님은 "사진사"란 표현보단, 예술가가 더 어울릴 듯합니다 ㅎㅎ
  • 조용현 2008.10.31 09:23
    와 드디어 힐릭스가 올라왔군요..
    공준호님에게서 소식만 듣고 무지하게 기다렸습니다..
    작품을 만들던 월요일 잠에 취해서 못 나간 것이 더욱 후회됩니다..
    이것 너무 아름다워요..
    거칠다고요??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너무 굳...
    아~~ 지난 월요일이 원망스럽네요
  • 공준호 2008.10.31 15:11
    역시 기대했던대로 멋진 작품으로 나왔군! 환상적인 이미지입니다.^.~
  • 홍두희 2008.10.31 16:03
    무서운 기분, 저 빨간 구멍속에 뭐가 있을것 같은 .... 신기 & 신기
  • 이상헌 2008.10.31 17:32
    멋지고 이쁜 Helix~~~
    올해도 잘못하면 그냥 놓쳐버리겠네요. 다음 사냥 대상 일순위입니다.
  • 강문기 2008.10.31 17:37
    흠... 예.술.가... 역시 오서방 최고예요^^(명문고교 졸업생이라 달라요~~)
    Helix 고도가 너무 낮아 아마도 임도보다는 남천뻥뚤린 벗고개가 더 적절할겁니다.
  • 유종선 2008.10.31 20:01
    요놈... 진짜 몇년전부터 노리고 있던 놈인데... 앞으로도 쉽지는 안흘테니.. 대리만족합니다.
    색감 쥑여줍니다.~~
  • 이수진 2008.11.03 16:42
    반지의 제왕 사우론의 눈처럼 생겼네여~~~
    참~~신기한 성운이네요~~

  • 윤종성 2008.11.15 10:56
    반지의 제왕 사우론의 눈처럼 생겼네여~~~ 2
    무서운 눈이에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Helix Nebula

    지난 금요일 갑자기 몰려든 구름으로 인해 시작하다만 Helix 성운을, 주중 다음날 강의부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날씨가 너무 좋아 이번주 월요일 다시 나가서 마저 촬영하였습니다. 고정관측소가 있었다면 정확한 동일 화각으로 몇일에 걸쳐 여러장 정밀촬영...
    Date2008.10.30 By강문기 Views2276
    Read More
  2. Helix

    Object:Helix Date: 2013.10.2 Telescope: TEC140(0.75 Reducer)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4장) RGB(300s*3장) Guiding: 80mm 빅센/DSI2mono Location: 강원도 홍천군 한번 제대로 찍어보고자 노렸지만 구름과 일부 광해지역으...
    Date2013.10.06 Category딥스카이 By전영준 Views3225
    Read More
  3. Heart Nebula (IC1805)

    -------------------------- 20071107 양평군 양동면 e-160, Astro350D ISO 1600 6minx19, 7minx3 약 30% 리사이즈 full frame 아래사진 100% 중심부 크롭 -------------------------- 원숭이와 같은날 찍은 것인데.. 구도가 완전히 엉망입니다. ㅠ.ㅠ 그런데...
    Date2007.11.09 Category성운 By유종선 Views2901
    Read More
  4. Heart Nebula

    예습을 잘 해오시는 유선생님의 추천에 따라 촬영한 Heart Nebula입니다. 정말 어두운 대상이더군요. 다시 한번 오붓하게 촬영을 할 대상인것 같습니다. 2006. 9. 23 양평폐가 FSQ106+STL11000 Halpha + RGB (각 1장씩만)
    Date2006.09.24 By강문기 Views1380
    Read More
  5. Heart & Soul nebula

    Soul nebula, Heart nebula - IC1848, IC1805 2016. 1. 8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 modified Sony A7s (UV/IR cut filter 개조) / FE 70-200mm F4 G OSS (200.00mm) / 302.0 sec / f 5.0 / ISO 3200 Sky-Watcher Star Adventurer (portable EQ mount) w/ C...
    Date2016.01.10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185
    Read More
  6. Head of IC2177(Seagul Nebula)

    IC2177(Seagul Nebula) 머리부분입니다.  찾아보니 VDB93 혹은  Gum1 Nebula 라고도 하네요.  찍고보니  Gain390로 찍었네요. ㄷㄷㄷ   - 촬영 일시 : 2022.01.17 - 촬영 장소 : 강원도 홍천 방내리 - 적도의: Garnet32(자작하모닉적도의), asiair pro - 망원...
    Date2022.01.11 Category딥스카이 By박창목 Views212
    Read More
  7. Ha영역 추가된 Helix~~

    색감이 짙어지고 실핏줄이 약간 도드라지는 것 이외에는 별차이가 없는 듯합니다. 오히려 디테일은 감소한 듯.. 상헌님 힐릭스 찍는 것 보고 Ha만 찍어서 아래있는 이미지에 덮었습니다. 지난번이미지- http://pjhkyr.cafe24.com/bbs/zboard.php?id=work&page...
    Date2008.11.21 By조용현 Views1762
    Read More
  8. Ha 말머리~~

    Ha 이미지만~~~ 어떻게 해결할까~~ 또하나의 고민 탄생~~어이쿠~~ Ha 필터의 내부 반사광에 의해서 별상이 파괴되는 사태가 발생했네요~~ 어이쿠... 2008.11.19. 양동면 임도 Newtonian 10inch, QHY8CCD with Ha filter, ST402 guide, NJP T2 Ha:600sec x 5, ...
    Date2008.11.20 By조용현 Views1134
    Read More
  9. H-Alpha +DSLR 테스트입니다.

    EOS550D(lowpass제거) + AstronomiK H-Alpha12nm SKY90 EM-11 Temma2M 600S x 3
    Date2012.06.01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3143
    Read More
  10. GSO RC8 퍼스트라잇 - M81 & M82

    M81 & M82 Bode & Cigar Galaxies 보데은하와 시거은하 2018. 2. 21~22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관측소 (촬영온도 영하 9~10°C) GSO RC8 (F8) / TSRCFlat2 (1X) / modified Sony A7s / Ioptron IEQ45 Pro Off Axis Guider TSOAG9EOS / QHY5L-II-...
    Date2018.02.23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327
    Read More
  11. GSO 12" 뉴토니언 퍼스트라잇

      IC1340 박쥐성운 Bat Nebula in Cygnus Loop   2022. 8. 20~21 SAC Observatory Hongcheon, KOREA (23°C) GSO 12" Newtonian (F4) / ES HRCC (1.06x) / ZWO ASI294MM Pro (-15°C) Rainbow Astro RST-400 / HERCULES S8239 OAG / ZWO ASI174MM Mini Antli...
    Date2022.08.21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135
    Read More
  12. GREEN LED POINTER, LED별 지시기 FINAL 버전.

    2006년 초여름에 랜턴과 고출력 녹색 LED로 만든 'GREEN LED POINTER'의 최종버전을 완성하였습니다. 2006년 8월 30일. 보다 작게 만들기 위하여 TEST를 하고 있지만 이 정도도 실용성이 있어서 정리합니다. 렌즈를 추가하면 SIZE를 줄일수 있습니다. 렌즈는 ...
    Date2006.08.30 By홍두희 Views33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