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05.09.12 22:50

M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05년 9월10일 오후 9시경
보그 5" EOS 300D with LPS P2 ISO 1600x5min 한장  OTL
-----------------------------------------------------

뒤늦은 M27입니다.

위치 확인용 한장만 나오고 노출 더 길게주고 찍은 9장은 저장이 되질 않았습니다.  ㅠ.ㅠ 한시간동안 띵까띵까 옆에서 놀다 와보니 한장도 저장이 않됐지 뭡니까... 이유도 모른채로...

억울해서 올려봅니다. 내년에 멋지게 찍어보고 싶습니다.

윗사진은 100% 중앙부 crop이고
아랫사진은 전체사진 25% 리사이즈입니다.


----------------------------------------------------------------------
200.5.9.28. 추가
좀 더 리사이즈하고 처리를 좀더 해 보았습니다.
그놈이 그놈이지만 조금은 나아진 것 같아 사진 바꾸어 봅니다.  ^^;;;
-----------------------------------------------------------------------
  • 이상헌 2005.09.12 23:00
    정말 이쁘게 잘 나왔습니다. 색깔이 예술이네요*_* 가이드도 아주 잘되었는데요. 나머지 아홉장 정말 아깝겠습니다. 저도 다음번에 요놈을 노릴 참입니다.
  • 강문기 2005.09.13 09:31
    여러장 찍은 것이 나와서 배경 열잡음이 줄었다면 대단했겠읍니다. 가이드도 잘되고 촛점도 정확하게 맞은것같읍니다.
  • 공대연 2005.09.13 12:15
    아래 원본이 더 좋아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나도 찍고 싶다. 쩝~~~ 점점더 좋은 사진이 나오시네요. 다음 사진도 기대됩니다.
  • 유종선 2005.09.13 16:37
    1600의 노이즈는 한장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더군요.
    ISO를 800으로 하고 싶지만 노출 시간이 길어져서 화질의 손상을 무릎스고 1600으로 갑니다.
    100% 확대한 것은 1600 이기 때문에 입자가 거칠어서 그렇게 보이는것 아닐까요?
  • 성해석 2005.09.13 19:20
    아... 생상도 이쁘고 가이드도 잘되었네요... 나머지도 다 저장되서 합성했으면 노이즈도 줄고... 더 좋았을건데....
    유선생님의 열의가 장비를 감동 시키는 날이 곧 오겠죠 ^^
  • 이수진 2005.09.14 17:44
    천체사진을 볼때마다 생각하는데 안시로 안보이니 저쪽 별에 함가서 눈으로 확인하고 싶다는생각......저멀리 저리 이쁜 별이 있다고 생각하니 아마 외계인두 있지 않을까...ㅋㅋㅋ
    1장두 이쁘지만 담에는 꼭!! 성공하세요^^ 정말 이쁜니당......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M31

    중원계곡 11월 8일 100SDUF F4 f=400mm 20D ISO800 240x4 ISO1600 60x5 ISO1600 120x4 EM200USD2 notouch 맥심합성 포토샵 level/curve/shadowhigh/unsharp/resize 지난주 찍은 사진 이제 처리해서 올립니다. 머~~ 특별히 나아지는 것도 없고 해서 아쉬움이 ...
    Date2005.11.14 Category딥스카이 By이상헌 Views2418
    Read More
  2. M42 오리온대성운

    10월22일날 번개때 찍은 사진인디 이제야 올리네염... 정한섭님, 변성식님, 유종선님과 함께 추운날 맛나는 라면을 먹으면서 관측했습니다. 생각보다 많이 추웠습니다. 다음부터는 내복을~~~ 장소 : 경기도 양평 날짜 :2005년 10월 22일 카메라 : 350D 노출 :...
    Date2005.11.10 By이수진 Views2318
    Read More
  3. M45 플레이아데스성단

    장소 : 경기도 양평 날짜 :2005년 10월 22일 카메라 : 350D 노출 : 59초 합성 : 없구 원본 1장 입니다. ISO : 800 이미지 처리 : 없음 적도의 : 미드 LXD75 SN10인치 노터치 가이드
    Date2005.11.10 Category딥스카이 By이수진 Views2178
    Read More
  4. M31 안드로메다

    장소 : 경기도 양평 날짜 :2005년 10월 22일 카메라 : 350D 노출 : 141초 합성 : 없구 원본 1장 입니다. ISO : 800 이미지 처리 : 없음 적도의 : 미드 LXD75 SN10인치 노터치 가이드
    Date2005.11.10 Category딥스카이 By이수진 Views1947
    Read More
  5. 마차부자리 오리온자리

    중원계곡 11월 8일 50mm 화각으로 한번 담아봤습니다. 마차부자리 20D 50.8 F2.8 ISO800 60' 오리온자리 F2.8 ISO800 120' 오리온자리를 찍으려는데 구름이 좀처럼 비켜주질 않더군요. 50mm 화각에 꽉 차게 들어오네요.
    Date2005.11.09 By이상헌 Views1809
    Read More
  6. 화성과 플레이아데스 카시오페이아

    중원계곡 11월 8일 50mm 화각으로 한번 담아봤습니다. 화성과 플레이아데스 20D 50.8 F3.2 ISO800 120' 카시오페이아 F2.8 ISO800 120' 날씨는 차가왔지만 바람이 불지 않아서 견딜만했습니다. 이슬도 내리지 않아서 오랫동안 찍어볼려는데 카메라 배터리 2개...
    Date2005.11.09 By이상헌 Views2277
    Read More
  7. 플라토(Plato)

    2005년 10월 23 일 seeing : I (Ant.) trans. : 3 mag. mewlon210(fl2415mm), 3x barlow. 게으름 때문에 이제야 사진을 올리는 군요. 지난 번개때 촬영한 플라토입니다. 날이 좋아서 아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Date2005.11.06 By정한섭 Views1847
    Read More
  8. 반자동 이슬제거기 제작 설명서

    2004년 1월24일 만능기판으로 만들어서 회로도등과 이곳에 올렸고, 04년 16회 스타파티때에 보여드린것인데 05년 4월에 기판을 몇개 떠놨습니다. 05년 10월 17회 스타파티를 맞이하여 손쉽게 제작할수 있도록 사진과 제작 설명을 하였습니다. 회로도는 04년 1...
    Date2005.10.29 Category태양계 By홍두희 Views4389
    Read More
  9. 달.... 달....

    .. 이제 달이 떠도 번개 갈 의미가 생겼습니다. 이거저거 하나도 제대로 하는 것 없으면서 찝쩍대는 것이 오히려 더 재미있습니다. "장비"라는 것도 묘하게, 준비하는게 더 재미 있고 가슴이 부풉니다. Meade사의 LPI(중고로 좀 비싸게 구입했죠 ㅡㅡ;;;)를 ...
    Date2005.10.23 By유종선 Views1778
    Read More
  10. M45

    중원계곡 10월 8일 100SDUF F4 f=400mm 20D ISO1600 240x4 LPS-P2 EM200USD2 notouch 맥심합성 포토샵 level/curve/unsharp/resize M45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다른 멋진 사진들을 너무 많이 본 것 같습니다. 고도도 낮았고 매수도 부족합니다. 이번 정관 기념...
    Date2005.10.10 Category딥스카이 By이상헌 Views2528
    Read More
  11. M31 Andromeda Galaxy (컬러)

    방금 정관에서 찍은 사진을 올려봅니다. 습도가 많이 높았지만 10시이후론 구름도없고 시상도 괜찮았읍니다. 중원계곡 2005년 10월 8일(토) 11시 FSQ106 + SBIG2000XM L:600초x3장(bin1 1600x1200) RGB: 300초x3장 each (bin2 800x600)
    Date2005.10.09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2392
    Read More
  12. M31 Andromeda Galaxy (whole wing: single frame test shot)

    구름이 계속 왔다갔다 하여 5분-10분이상 지속적으로 열린 하늘을 보기 힘들었던 밤이었읍니다. FSQ106과 SBIG2000의 조합 test를 위해 몇장 찍었는데 그중 구름에 가리지 않은 단 1장 Luminance사진을 증거사진으로 올려봅니다. 중량도 여유있고 짧은 F수로 ...
    Date2005.10.03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23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0 181 182 183 184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