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 어디가 얼마나 어두울까요?
대부분 아니 모두가 주관적으로 자신의 한정된 시간과 공간속에서 경험한것에 기초하지요.
공돌이는 내공이 좀 쌓이면 객관화 하려고 이것 저것을 시도합니다. 생각한것이 오랜시간후에 실험과 검증과정을 거쳐
나오기도 하고, 제안이나 아이디어로 이야기 하게되지요.
인공위성에서 한반도의 밤을 찍어서 북쪽의 밤하늘이 까만것을 본적도 있지요.
1. 전 우리나라의 최소 행정단위(리,동)및 면에서의 가정용 전기사용량으로 그 동네의 광해정도를 객관화 시킬수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차일 피일 미루다가 통계청 홈페이지가 생각나더군요. 더 찾으면 다 찾을수 있을겁니다. 이게 뭐 큰 비밀입니다까.
작년 data가 아니더라도 3~4년 data 라도 상대적으로는 같은 결과가 나올겁니다. 전기사용량을 행정면적으로 나눈값을 사용하고,
인접지역의 data 도 집어넣어서 분포를 보는 거지요.
그림화일 2개는 간단히 진주시의data입니다. 우리가 뭐 진주까지 갈일이 있나요. 전국의 리와동이 아무리 많아도 엑셀의 행렬에
안 들어가겠습니까?
2. 어두운 곳을 저울질하는 또 다른 하나.
사진관에서 사진을 찍거나 예식장과 야외촬영에서 큰 원판사진을 찍을때에는 조도계를 가지고 측정하고, 그 값에 맞게 노출과 조리개를
조절합니다. 실내 건물의 형광등의 수를 정할때도 조도를 따지고, 학교의 교실에도 조도계로 조도를 잴겁니다.(새로 지은 학교?)
저는 이 조도를 재는 원리를 조금 압니다. 그리고 별의 밝기를 정할때는 촛점을 흐리게 하고 잽니다.
우리가 쓰는 망원경의 아이피스 자리에 조도계를 달고 촛점을 흐리게 하면 망원경에 들어오는 평행광선은 조도계의 면에 모이고 조도가
측정되겠지요. 관측지, 번개장소, 천문대등지에서 이 객관화된 수치를 이용하면 어디하늘이 어디하늘보다 좋다라는 이야기가 정확하겠지요.
뚜껑닫고, 알고 있는 발광체(발광다이오드 등)로 0점조정을 하면 되고요. 측정할때의 온도, 습도, 구름도 감안해야지요.
디카로 찍어서 히스토그램을 보면 확실히 비교가 되고요.(이경우는 온도땜에 켈리브레이션에 조금 문제가 있겟구요)
3. 한호진님도 사진으로 들어가는 군요, 빨려 들어 가는 군요, 무거운 16인치 돕을 나눠가지려고 했었는데 무심^^ 하십니다.
하긴 em200 살때 알아봤지만요. 지난 정관때 강덕선님이 오셔서 16인치를 끽끽 돌리는 모습이 무척 좋았답니다. 사진으로 입문하실
분들이 줄을 선거로 압니다, 서천동 사진 ob님 마니 마니 도와 주세요.
그래서 부탁 드려봅니다. 정님, 유님, 강님, 이2님. 윤님, data 처리하지 않은 원본file 하나씩 주세요.
흐른것, 촛점 잘 안 맞은것, 잘 된것 각각 하나씩. data 처리 공부를 해보기도 하고, 사진이 적성인가도 test해보게요. 필름과 달리
디지털 사진은 후 처리가 생명이라 처리하는 과정이 적성이 맞는가를 가름해 볼수 있을것 같아서요. 웹켐과 DSLR 고루고루.
제 글에 답글로 화일을 첨부시켜주시고, 화일이 클테니까 분활해서 줄줄이 붙이시고요.
서천동이니 이런 제안도 하는거 아닙니껴^,^
하늘이 좋다 나쁘다를 뭐 구지 따질 필요 있나요...
양평 근천에 뭐 거기서 거기 일테고 직격탄으로 날라오는 주변 잡광만 없으면 되지 않나요? ^^
좀 밝은 하늘이라도 좋은 님들 만나고 별이야기하고 사진 찍을수 있으면 되죠..
이상헌님 말씀이 생각납니다. "대~~략 찍고 이만하면 잘~~나왔지?" 하신다는거요...
가끔은 잘찍힌 사진 한장 가지고도 싶지만서도...
아직은 가서 사진찍는 과정이, 분위기가 더 좋습니다. ^___________^
사진 처리 해보시게요? ^^
원본화일 하나 크기가 16비트인 경우 30~40메가 바이트 됩니다.
여긴 안올라갈텐데....
JPG로 압축되고 리사이즈하면 처리하는데 화질이 무척 많이 깨지게됩니다. 연습 안됩니다.
창피하지만 제가 따로 메일로 보내드릴께요. ^^;;; 뭐를 보내드릴까.. 고민되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