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관측정보
2005.02.21 17:53

천체스케치의 기본방법(실전1)

조회 수 3821 추천 수 3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제 필드 입니다.
모든 준비를 완료하고나서 망원경 시야에 오늘의 천체를
자동도입이던 스타호핑이던 암튼 대상을 아이피스 속으로 집어 넣습니다.
그리고 일단 대상을 안시로 10분정도 관측하며 화면의 배치나 이것저것에 대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집에서 천체에 대한(메시에든 ngc든지 )공부를하고 사진찍은것도
감상하며 스케치의 느낌을 익히면 더욱 좋겟지요)

1.시작단계
일단 20mm정도의 저배율아이피스속과 화면을 보면서 대상의 전체의 구도를 스케치 합니다.
2.어느정도 기본 스케치가 끝나면 대상의 전체에 연필이나 기타의 재료로(보통은 연필이나 콘테 정도의 단색 재료사용)톤을 입힙니다.

2.안시관측
이단계까지 왓다면 무작정 계속 작업을 하는것 보단 휴식을 취하며
대상을 관측하면서 심도잇는 안시관측을 다시 한번 합니다.
그러면서 내가 그린 그림에 부족하거나 더 많이 보이는 부분에 대한 스케치의 필요한 부분을 인지 합니다.

3.중간단계
조금더 배율을 높여서 대상의 부분의 세밀한 부분을 그려나갑니다.
하지만 눈은 화면 전체를 수시로 확인해야 발란스가 유지되겟지요!!
대상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말입니다.

그다음에 다시 저배율로 갑니다.
이젠 부분과 전체가 어느정도 조화를 이루며 대상이 화폭에 담겨잇 겟지요.
부분을 그리다보니 균형이 깨져잇을수도 잇고 색감의 톤도 많아지게 색을 더 입혀야 합니다.

4.마무리1단계
고배율 아이피스(망원경의 방식에 따라 아이피스의 mm수가 달라 지 겟죠)를 이용 대상의 포인트가 되는 부분을 세밀하게 그립니다.
이렇게 하면 원근감이 살아 납니다.
대상의 외곽부분에 잘보이는 것도 있겠지만 그쪽은 대충 느낌만
그리세요.
그렇지 않으면 원근이 사라져서 메마른 천체 스케치가 돨수 있습니다.
*마무리2단계
다시 그다음 배율로 낯추어서 고배율 다음의 느낌을 그립니다.
포인트 부분이 세밀해졋기 때문에 또 톤의 변화가 어색할수 있음으 로 그 부분을 보충하세요.
*마무리3단계
이젠 첨의 저배율 아이피스를 이용 첨처럼 전체에 연필톤을 입히고
대상 주위의 별들을 눈에 보이는 만큼 최대한 그리면 끝이 납니다.

간략하게 실전에서의 스케치에 관한 글입니다.
많은 분들이 활용 하시면 처음의 실패를 최소화 하 수 잇으리라 봅니다.
천체를 스케치하다보면 어느덧 대상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애착
우주의 신비를 몸으로 느낄수 잇는 좋은 방법인것 같습니다.
천체 사진과는 달리 그리는 사람마다 대상의 느낌이 확달라서
인상깊은 자료로 남을 것입니다.
감사 합니다.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천문이론 10장 태양에 그을린 수성: 10-1. 수성의 겉모습은 왜 다르게 보일까? 장유 2021.05.11 140
299 천문이론 12장 붉은 화성: 12-1. 지구의 이웃 화성 장유 2021.05.24 143
298 천문이론 유니버스(Universe) 서문 1 장유 2021.02.22 159
297 천문이론 9장 황량힌 달: 9-1. 달표면은 공기가 없고 몹시 건조하며 평지와 분화구로 덮여있다 장유 2021.05.03 163
296 천문이론 8장 살아있는 지구: 8-1. 바위는 지구 표면의 역사를 알려줄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 장유 2021.04.23 167
295 천문이론 3장 일식과 달의 운동: 3-1. 달(the Moon)의 월령(月齡) 2 장유 2021.03.08 169
294 천문이론 13장 행성의 왕, 목성: 13-1. 목성에서도 달이나 지구처럼 서있을 수 있을까? 장유 2021.06.01 174
293 천문이론 4장 중력과 행성의 운동: 4-1. 고대의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운동을 어떻게 설명했는가? 장유 2021.03.16 175
292 천문이론 2장 하늘의 이해: 2-1. 위치천문학과 고대문명 2 장유 2021.03.01 178
291 천문이론 11장 구름에 가려진 금성: 11-1. 두터운 구름에 감춰진 금성 3 장유 2021.05.17 184
290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9. 명왕성과 위성 카론은 태양계 바깥을 돌고있는 수많은 얼음덩이들의 전형 장유 2021.07.05 207
289 천문이론 1장 천문학과 우주. 1-1. 천문학자들은 물리 법칙과 이론적 모델을 실험해서 우주를 이해하려 합니다. 1 장유 2021.02.23 209
288 천문이론 6장 광학과 망원경: 6-1.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 망원경은 크야 할까? 장유 2021.04.07 211
287 천문이론 5장 빛과 물질의 성질: 5-1. 빛의 속도와 측정 2 장유 2021.03.25 213
286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1.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장유 2021.06.23 213
285 장비정보 그날 이후 궁금증 이인현 2017.01.11 241
284 천문이론 15장 토성: 15-1. 매혹적인 토성의 띠 장유 2021.06.09 248
283 장비정보 CN 플레이트홀더 4 file 이인현 2017.02.07 255
282 천문이론 7장 태양계 (Solar system): 7-1. 다른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일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장유 2021.04.12 255
281 천체사진 pc 라이브뷰를 찾은 이유 1 file 이인현 2016.10.20 2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