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여름 방학이 되면 새로운 천문학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하는데
이번 프로그램은
기획 단계부터 제작, 테스트 까지 모두 다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함께 만들려고 합니다.

일단 기본 방향으로 제가 생각한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밤하늘을 기술하는 script 언어를 만들어서
그것을 가지고 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star 10.4 +22.5 4 // 적경=10.4 적위=22.5 에 밝기 4등성의 별이 그려집니다.
line 0.5 +22.4 1.5 -22.3 // (적경,적위)가 (0.5, 22.4)~(1.5, -22.3) 까지 선이 그려집니다.
text 4.5 +31.3 "큰곰자리" // 적경=4.5 적위 31.3에 큰곰자리라는 글자가 써집니다.

그리고 시간과 장소는 프로그램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행성의 위치와 달의 위치는 거기에 맞춰서 계산되어 그려집니다.
이렇게 하면 한국의 고대 천문도에 나타난 별들이나 별자리 등을
복원해서 돌려볼 수 있으며,
자신만의 별자리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후에 혜성, 비트맵 그림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겠지요.

그리고 또 다른 주요한 기능으로 skin 기능이 있습니다.
기 기능은
적도 좌표상의 하늘 배경그림과
지평 좌표상의 하늘 배경그림,
그리고 지평면에 해당하는 배경그림
을 설정해 주면 그대로 그려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천상열차분야지도나 에반스의 천구도 같은 고대의 지도를
적도좌표상의 하늘 배경그림으로 세팅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지평면과 지평 좌표상에 주변 풍경(내 집 주변, 서울 타워, 월드컵 경기장 등등)을 세팅하여 몇시 몇분의 그 곳의 하늘을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특정 영역을 드래그 한 후 사진 쵤영 기능을 만들어서
노출 시간에 따라 trail과 별의 번짐 현상 등을 시뮬레이션 할 것입니다.

우리 프로그램의 목표는 확장 가능한 범용 천문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은 모두 astronote의 천문학 라이브러리가 거의 완성 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지요.
astronote에서 이전에 제가 개발한 천문학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천문학 라이브러리 제작에 촛점을 맞추느라
인터페이스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것이 사실입니다.

프로그램의 덩치를 키우는 대신 확장성과 속도, 정확성에만 촛점을
맞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천문 달력이라든가 인터넷 기능 같은 기능은
따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분리시킬 것입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1. 프로그램의 기획/설계에 참여하실 분
2. 프로그램의 코딩에 참여하실 분
3. 프로그램의 test에 참여하실 분
4. 프로그램의 도움말/메뉴얼을 쓰실 분
5. 프로그램의 디자인을 담당하실 분

모두 이 프로그램의 개발팀이 되겠습니다.
물론 프로그램 메뉴얼에 모든 분의 이름이 다 들어가야겠지요.

그 첫단계로 이번에 '새로운 천문학 프로그램 기획 모임'를 갖고자 합니다.

천문학 시뮬레이션에 관심이 많으신 분
계산 천문학에 조예가 깊으신 분
그리고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많으신 분
그리고 과학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기획에 관심이 많으신 분 등
많은 분들이 참여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참여하실 분이 정해지면 온라인/오프라인 모임 여부와
모임 시간 등을 정하겠습니다.

되도록 많은 분들이 참여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참여 방법은
http://astronote.org/board/index.php?table_name=b_newprogram
위의 게시판에 오신 후에
글을 남겨주시면 됩니다.
그럼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Make your foot print for Seoul Astronomy Club

서천동에 남기고 싶은 말씀을 적어주세요

  1. No Image 19Feb
    by 홍정림
    2003/02/19 by 홍정림
    Views 2238 

    [re] 랜즈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2. No Image 19Feb
    by 정한섭
    2003/02/19 by 정한섭
    Views 2261 

    [re] 랜즈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3. No Image 20Feb
    by 엄영준
    2003/02/20 by 엄영준
    Views 2215 

    달을 쥐가 조금 먹었나봐요.

  4. No Image 20Feb
    by 홍두희
    2003/02/20 by 홍두희
    Views 2252 

    [re] 달을 쥐가 조금 먹었나봐요.

  5. No Image 26Feb
    by 엄영준
    2003/02/26 by 엄영준
    Views 2348 

    자꾸만 질문해서 죄송 합니다.(그간답변해주신홍두희,정한섭,홍정림님감사)

  6. No Image 27Feb
    by 홍정림
    2003/02/27 by 홍정림
    Views 2237 

    [re]맞는 말인지는 모르지만....

  7. No Image 03Apr
    by 성 대환
    2003/04/03 by 성 대환
    Views 2186 

    역사를 통하여 본 진리의 발견과 미래의 발견

  8. No Image 03Apr
    by 홍두희
    2003/04/03 by 홍두희
    Views 2146 

    [re] 역사를 통하여 본 진리의 발견과 미래의 발견

  9. No Image 16Apr
    by 성 대환
    2003/04/16 by 성 대환
    Views 2349 

    [re] 배꽃에 달빛이 들고

  10. No Image 23Apr
    by 성 대환
    2003/04/23 by 성 대환
    Views 2400 

    밤 하늘이 해처럼 밝다면

  11. No Image 23Apr
    by 나그네
    2003/04/23 by 나그네
    Views 2006 

    안녕하세요

  12. No Image 25Apr
    by 차정원
    2003/04/25 by 차정원
    Views 3924 

    Re)밤 하늘이 해처럼 밝다면 - 이런논리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13. No Image 25Apr
    by 김영렬
    2003/04/25 by 김영렬
    Views 1934 

    .

  14. No Image 25Apr
    by 차정원
    2003/04/25 by 차정원
    Views 1948 

    [re] 아하 그렇군요..

  15. No Image 25Apr
    by 성 대환
    2003/04/25 by 성 대환
    Views 2814 

    [re] Re)밤 하늘이 해처럼 밝다면 - 이런논리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16. No Image 27Apr
    by 차정원
    2003/04/27 by 차정원
    Views 3210 

    우주팽창설이 맞는 이론인지 ???? 저도 궁금증을 갖고 있어요

  17. No Image 30Apr
    by 성 대환
    2003/04/30 by 성 대환
    Views 2830 

    해가 지구보다 젊다?

  18. No Image 11May
    by moon wee jeong
    2003/05/11 by moon wee jeong
    Views 2175 

    우주는 유한하며

  19. No Image 13May
    by 이형철
    2003/05/13 by 이형철
    Views 2560 

    새 천문학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팀 모집/기획 모임을 하고자 합니다.

  20. 화성식. . . . . .작성자 ; 성 대환. . . . . .2003-07-18 12:46:10 오리지날작성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