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태양계
2014.09.11 14:54

The Super Moon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IMG_0512_2000C.JPG


IMG_0540_2400.JPG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약 50만 Km로 약 30% 가까이나 더 작게 보입니다.

위 사진은 이 시점 무렵에 Pentax 125SDP 5인치 APO굴절 망원경을 통햬 CANON 5D MarkII 카메라로 촬영.

 

아래는 동영상 capture입니다.
https://www.dropbox.com/s/h6flglm4x7uu1cy/MVI_0537.MOV?dl=0

  • 어제,그제,엇그제 모두 동쪽에서 떠오르는 달과 천정에서 조금 남쪽에 떠있는 달을 집에서 봤습니다. 이틀은 100미리 굴절로도 봤고,
    집에온 처남에게도 보여줬습니다^^
    이 사진을 보니 슈퍼문이 내가 있는곳에서는 몇시몇분 인지 계산해 보고 싶군요
    (공선생님이 전화 주셨을때 11시몇분이라고 했는데 내가 있는 곳의 시간이지, 지구-달 중심 거리인지,,
    내머리위에서의 슈퍼문시각은 다를지 같을지 지금부터 생각중^^) -- 또 타원 ㅋㅋㅋㅋ

    --

    저녁7시45분 추가.

    오늘밤에 슈퍼문이 뜬다고 한다면,,,, 그 슈퍼문의 위치와 시간을 생각해 봤습니다.

    수퍼문이라면 달이 크게 보인다는 것인지, '보름'달이 크게 보인다는(아마도 이것이 통용되는 말이겟지요) 것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겟지요.

    우리가 달을 볼때(해에 붙어있는 초승달과 그믐달은 빼고)는 언제나 둥근 모습의 달을 봅니다(ㅋㅋ. 달의 어두운 곳을 보여주는 우리의 망원경/쌍안경때문)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으로 음력 1달 동안 돌고, 또 지구는 그동안 공전과 자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이 차고 지는 것이 보입니다.

    보름달이 보일때는 달이 지구에 가까운 근지점에 있을수도 있고, 원지점에 있을때도 있겠지요, 중간지점에는 더 자주 있을거고,,

    달과 지구의 거리는 그리 먼곳이 아닙니다. 40만 키로미터는 지구의 반지름인 6천4백 키로미터와 충분히 비교가 됩니다. 

    근지점이 35만 키로라 하고 원지점이 45 만 키로라 한다면, 약 14.8일(삭망일29.53일의 반)동안 (더)이동을 하는겁니다. 

    단순 계산하면 14.8일 동안 10만 키로를 (더)이동하는 것이 되며 하루에 10만/14.8일 = 6700키로를 (더)이동하는 겁니다. 

    타원 을 그려보면  근지점에는 별로 멀리 못감니다(속도는 빨리 가지만 지구와의 거리는 그리 빨리 멀어지지 않습니다 즉 14.8일의 

    평균 (더)멀어지는 거리 6700키로/하루평균 보다는 훨씬 덜 멀어진다는 것이죠) 

    지구는 하루에 한바퀴를 돌기에 만약 달이 적위 0도에 있다고 하면, 적도에서는 6시간이면 6400키로나 멀어지거나 가까워 지게 됩니다.

    하루에 6700키로 보다 천천히 이동하는 달과, 그 1/4인 시간에 6400키로를 이동하는 지구위의 한곳을 생각하니 

    슈퍼문의 위치와 시간이 충분히 비교할수 있고, 고려할수 있는 내용이네요^^


    슈퍼문이 있다고 하면 지구위의 어느 지점/어느 시간이 슈퍼일까?? ㅋㅋㅋ

    또 내 위치에서는 언제가 진짜 슈퍼일까??? 

    또 위 두 포인트의 차이는 얼마나 날까???

    ㅎㅎㅎ 

    -

    20시10분 추가

    웹서핑하면서 찾아보니 카나다 토론토의 사이트가 있군요.

    만약 이번에 알려진 서울 슈퍼문 시간이 풀문일때의 시간-지오선 통과-이었으면 명백한 오류(언론오보)가 됩니다^^

    20140911_200827.jpg


    20140911_200618.jpg

    --

    20시38분 추가

    카나다 사이트를 보다보니 맨붕@@

    1달동안 달이 근지점과 원지점을 경유하며 돌텐데 근지점이 35만 키로라면 원지점이 약 45키로가 되어야 맞는데 이 표를 보니까 아닙니다.

    이번달에는 불과 몇만 키로 이내로만 가까워 졌다 멀어 집니다. 그런 언제 45만 키로가 나오는 거야???

    위키피디아를 보니까 20년 주기의 뭐가 나오는데 (411일 x 18년) 이해가 안됩니다.....

    달이 지구를 돌면서 지구와 비교할만한 무게가 있으니까 지구에 종속이 안되어 도는가 봅니다....

    암튼 슈퍼문의 주기(20여년)는 이해 못하지만 지구-달의 최단거리때의 시각과 내 위치(지구위의 한곳)에서의 달과의 최단거리는 충분히 

    생각해볼만함.....

    -

    9시추가

    달/지구의 거리가 이러네요.... 35만 키로~40만 키로.  위의 계산에서 45만->40만, 10만->5만으로 바꾸어서 계산 해야지요^^

    20140911_210128.jpg

    -

    9시14분 추가

    카나다 사이트가 아니라 카나다 토론토로 입력한 곳을 제가 눌렀습니다. 

    timeanddate.com 으로 들어가서 서울을 치면 되네요.

    20140911_211356.jpg

    -

    9시38분 추가

    맨붕에서 빠쟈 나왔습니다. 원지점을 45만으로 잘못 알고 있어서 맨붕에 빠졌으며(45만과 40만 사이의 갭) 45만이 아닌 40만이어서 빠져나왔습니다.

    통상의 1달 주기사이에 35만~40만을 유지하니까 ( timeanddata.com ) 타원괘도를 지구주위로 도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약 20년 주기를 이해하는 것이 슈퍼문을 이해하는 것 같군요....(저는 아직 이해 못했습니다)

    -

    밤22시9분 추가

    위의 358387km를 찾으려고 했는데 뉴욕에서의 자오선 통과때의 거리가 358404 키로 까지 찾았습니다.

    (서울 358614k, 동경 358583k ,,,, ,,,, ,,,,, ,,,,, 경도 좌표를 쭉 돌아가며 도시이름으로 적어놓고 거리를 보고,,,)

    아마도 대서양위로 달이 떴을때 달-지구가 가장 가까왔나 봅니다....

    또 뉴욕의 data를 보면 풀문일때(99.9%)의 거리가 전날보다 먼것으로 봐서 진정한 슈퍼문은 아니네요

    20140911_220801.jpg










  • 하원훈 2014.09.11 19:17
    가슴이 시원해지는 보름달입니다.
  • 이상헌 2014.09.12 19:53
    아주 근사합니다~~ ^^
  • 이강환 2014.09.14 14:49
    요즘 바빠서 달도 제대로 쳐다보질 못했는데
    여기서 시원한 보름달을 보고 갑니다^^
  • 공준호 2014.10.07 10:52
    ㅎㅎㅎ 홍회장님 수고 많이하셨어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별자리 산책(7)- Libra 천칭, Serpens 뱀자리, Scutum 방패, Sagittarius 궁수, Cygnus 백조, Saggita 화살, Lyra 거문고

    별자리 촬영을 하다보니 촬영후 보정과 정리, 선긋기 등에 시간이 많이 걸려 봄에 찍은 것 이제야 올려봅니다. 올봄은 날씨가 무척 받쳐주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이날도 연무에 저고도 대상은 담기 힘들었습니다.  - 촬영 일시 : 14년 3월 30일 - 31일  - 촬...
    Date2014.09.15 Category별/별자리/일주 By하원훈 Views3437
    Read More
  2. The Super Moon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Date2014.09.11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571
    Read More
  3. 서호주 카리지니 은하수 하나 더~~

    서호주 은하수 하나더 처리해서 올립니다... 카리지니 국립공원에서 촬영한 것인데 두장을 파노라마 합성했더니 별의 늘어지는 방향이 서로 다르네요~~ 환상적인 밤하늘이 이젠 추억이 되어갑니다.... [2014.07.29 Eco Retreat Camp, Karijini NP, Western Aus...
    Date2014.09.05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2642
    Read More
  4. 홍천하늘 2 (8월30일 정관후기)

    토요일 정관 공지가 뜨고 저녁에 가족행사가 잡히고... 가족행사 대충끝내고 방내리에 도착한 시간이  얼추 23시 30분. 어둠속에서 회원분들 인사하지만 지금 전부 예민한 시간이라는 건 안다.ㅡㅡ; 그저께 환상적인 하늘을 보여줬던 관측지는 오늘은 쪼끔 투...
    Date2014.09.05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2444
    Read More
  5. C/2014E2 Jacques 헤성과 ngc7293 Helix

    근 1년만에 보는 아주 좋은 날씨였습니다. 오랫만에 찍다보니 노출시간의 판단이 애매해 집니다. C/2014 E2 Jacques Comet iso1600 120초 4장 이 혜성은 꼬리는 확인이 어렵고 둥글게 핵만 보입니다. ngc7293 Helix 1so1600, 300초 3장, 480초 6장 두번째 찍는...
    Date2014.09.02 Category태양계 By하원훈 Views2425
    Read More
  6. 버블성운과 m52

    Object : m52_NGC7635 Date : 2014.8.31 Telescope : TEC140 (0.75 Reducer) Mount : EM200 Temma2 Camera : QSI583WS Exposure :Ha(600s*6장) RGB(300s*3장) Guiding : FS60CB/DSI 2 mono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캘리포니아 성운을 촬영하고 새벽에 뭐 ...
    Date2014.09.02 Category딥스카이 By전영준 Views2146
    Read More
  7. 8월 정관에서 얻은 Veil Nebular(베일 성운)...

    홍천 관측지의 날씨가 장관이더군요... 그동안 좋지않은 날씨로 맘 고생하신 분들을 위한 하늘의 배려처럼보였습니다. 새로오신 김신구님을 처음뵈었고, 회장님, 하샘, 공박사님, 한사장님, 이상헌님, 광욱님, 그리고 오래간만에 훨씬 이뻐진 초희님 모두 반가...
    Date2014.09.02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2223
    Read More
  8. ngc1499

    Object : ngc1499 Date : 2014.8.30 Telescope : TEC140 (0.75 Reducer) Mount : EM200 Temma2 Camera : QSI583WS Exposure :Ha(600s*6장) RGB(300s*3장) Guiding : FS60CB/DSI 2 mono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1세기만의 출사였나봅니다. 날씨가 예보로는 ...
    Date2014.09.02 Category딥스카이 By전영준 Views1744
    Read More
  9. M52 & NGC7635(버블성운)

    오랜만에 나간 정관, 개떡같은 여름 날씨 덕분에 5월초 이후 4개월만에 제대로된 관측을 나갔다왔네요. 필터휠 고장의 난관을 극복하고 시스템이 정상으로 움직여줬습니다. ㅎㅎ m52 와 버블성운은 거의 6년만에 다시 찍어보는 대상이네요. (기존 사진 : http:...
    Date2014.09.01 By김광욱 Views551
    Read More
  10. NGC6946(Fireworks) Galaxy & NGC6939 Open Cluster

    어제 정관으로 정말 오랜만에 홍천에 갔습니다.  날씨도 걱정했던 바와 달리 환상적인 은하수를 보여주었구요. 그래서 일기예보 대로라면 구름 사이로 안시나 가볍게 하려고 160mm TEC APO를 가져갔다가는 하늘이 너무 좋아 욕심이 생겨 사진을 찍으려고 생각...
    Date2014.08.31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1868
    Read More
  11. 홍천하늘 (8월28일 번개후기)

    (정관후기가 올라오기 전에 후다닥 지난 번개 후기를 먼저 올립니다 ^^) 긴긴 여름날의 끝자락에 번개 공지가 떴습니다. 한호진님이 홍천 콜!!!~~ ^^ 대충보니 저는 작년말에 관측나가고 처음이더군요. 취미생활이라고 하기엔 이제 뭐.... 회사마치고 열심히 ...
    Date2014.08.31 Category동영상 By이상헌 Views2198
    Read More
  12. Paynes Find 인근에서 잡은 Large Magellanic Cloud(LMC) 은하

        이 사진이 저의 올해 서호주 천체사진으론 마지막 사진이 되겠습니다. 이 LMC은하를 찍은 밤은 서호주 Outback 지역에서의 마지막 밤이었습니다.  이미 3500 Km가까운 여정을 달려 몸은 피곤했지만 연이어 계속된 그림같은 날씨로 이 마지막 밤을 그냥 보...
    Date2014.08.2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18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