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15.11.30 13:40

황동 무게추 작업중

조회 수 2643 추천 수 0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망원경 무게추를 예전에 납으로 녹여서 만들어 지금 쓰고 있는데(비중 11.34), 철(7.88)보다 더 무거운 황동(8.50, 합금아닌 

순수한 전기동은 8.96)으로 작은 추를 만들어 봅니다.

구멍이 뚫려있는 '황동 공심 봉'<가운데가 뚤린 상태를 '중공'이라고 합니다-12월1일 추가 설명>이 있는데 

특정 치수(예를 들면 외경 40/내경 15, 외경 50/내경 20)는 한정되 있어서

직름 50mm 황동봉을 선택했습니다. 같은 지름의 '전기동 봉'도 있었는데 구리가 더 많이 들어가서 인지 조금 더 비싸답니다.

단단한거로 따지자면 신주(황동)이 훨낀 좋으니까 약간의 비중을 손해보고 황동봉을 선택했읍니다.

600g 어치를 잘랐는데 4900원.  옆의 옆의 건물 1층의 비철금속 판매점.

500g의 무게추를 이선생님이 필요해서 아침 출근길에 바로 보고 바로 잘라 달랐습니다. 고속 절단기로 15초.

중앙을 맞춰서 추봉보다 0.2mm 정도 크게 뚫어야 하는데 그것을 충족할 드릴이 없으니 규격품인 12나 13mm 드릴날로

뚫고, 옆구리에는 m5나 m6용 탭을 내서 추가 추봉에 나사로 조여지게 해야겠지요.

re_DSCF1518.JPG

-

얼마의 길이로 짤라야 하는지는 주문자가 해야 합니다.

1kg 의 신주봉을 보여주는데 길이를 재어보니 6cm 이더군요. 

500g의 봉을 만들려면 구멍을 뜷어야 하기에 일단 600g짜리로 머리속에서 선택하고 

6cm X 6 / 10 = 3.6 cm 가 나옵니다. 3.6cm 짤라달라고 했습니다. 

자른후에 무게를 달아보니 600g 딱입니다.

지금 신주(황동)의 비중인 8.5를 대입시켜보니 3.14159 x 2.5 x 2.5 x 3.6 x 8.5 =  600.8g

신주 맞네요.

-

15시33분 추가, 가지고 있는 제일 굵은 것 드릴 13mm 가 홍천에 있어서 12mm 로 뚫었습니다. M6 tap. 

re_DSCF1520.JPG

re_DSCF1521.JPG

-

11월30일 17시1분 추가

서랍에 1개가 있어 다행인데 볼트는 스텐이 서랍에 없네요.(일단 가지고 있는 녹스는 볼트로 조립, 넛트는 스텐 있음).

'스텐 m6 육각 볼트 35mm'를 나중에 구해서 넣으세요^^

(40mm 를 약 5mm 자름)

re_DSCF1522.JPG

-

12월1일 10시30분 추가

어제 퇴근하며 앞 사무실(지지난주 지하로 이사 이젠 '지하 사무실 아저씨')에 가서 "육각 머리 볼트 스텐 m6 x 30"

2개 있는 것에서 하나 집어왔습니다. 꽉 조이면 여유가 2mm 남는 안성맞춤입니다.... 지금 교체 끝.


 

  • 이상헌 2015.11.30 13:44

    와~~ 고기토막 썰듯이 저렇게 한근(?) 썰어서도 파는군요.. ㅎㅎ

  • 이인현 2015.11.30 14:22

    오~! 참한데요.
    옛날 신주손저울의 무게추 생각이 납니다^^

    (연탄재를 지푸라기로 빡빡 밀면 불상처럼 빤딱이던.ㅋ)

  • 이인현 2015.11.30 16:32
    하는 김에 큼지막한 노브볼트로 해주세여~ㅋㅋ
  • 오광환 2015.12.01 11:29

    제가 가지고 있는 SWAT-350에 장착하는 무게추가 너무 가벼워 두 개를 추가 제작했는 데(동네 선반집에서 6만원) 균형이 맞지 않습니다.
    1Kg짜리 하나 만들면 좋겠습니다. 지름은 50mm, 내경을 모르겠네요. 집에가서 측정해봐야 겠습니다. 기존 추의 무게도 측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규격을 측정한 다음 다시 댓글 달겠습니다. (오늘 수능성적이 나오는 날이라 심적 압박이 좀 있습니다.) 사진의 무게추도 녹제거 약(광약???)으로 닦아주면 금덩어리 처럼 보이겠네요. 1차 수정---무게추 봉의 지름이 16mm입니다. 

  • 박창목 2015.12.01 12:23

    이렇게 만들면 되는거였군요..... 호주갈때 2kg 무게추 가볍게 만든다구 무식하게 연탄처럼 구멍 막 뚫다가 지쳐서 오바이트 할뻔했는데.

  • 김신구 2015.12.01 14:34
    ㅋㅋㅋ 고생 많이 하셨네요....
  • 오선생님 사진 안 보입니다. 방금 사진 찍어 왔습니다. 안쪽 구멍은 좀 큰거를 골라서 작은 파이프를 심는것이(이왕이면 동관) 13mm 넘는 구멍은 편하네요.

    re_DSCF1523.JPG


    re_DSCF1525.JPG


    re_DSCF1526.JPG


    re_DSCF1527.JPG


    re_DSCF1528.JPG


    지난주에 집에 있는 신문과 사무실에 있는 고철을 고물상에 팔았습니다.

    3달전쯤에는 고철과 구리를 팔았었구요. 

    근데 헉ㄱㄱㄱ(지난주)

    3달전 ; 구리 약 천원/kg , 고철 약 100원/kg, 신문 100원/kg

    지난주 ; 고철 30원/kg  ㅎㅓㄱ  ㅎㅓㄱ,  신문 100원/kg 

    고철이 동(?)값이라는 것....


    폐동값은 1000원/kg 은 되는데 이번에 0.6kg 을 4900원이니까 1kg는 8100원, 정도네요.


    큰 무게추는 동으로 하지말고 그냥 쇠로 하고, 무피가 문제되면 납이나 동으로 하면되겠네요



  • 오광환 2015.12.01 18:01 Files첨부 (1)
    지금 가지고 있는 무게추는 쇠이고요, 지름 60mm, 높이 50mm, 가운데 구멍 17mm, 무게 1.05kg입니다. (아래 사진)
    부피가 적은 소재로 1.5kg 한 개 만들고 싶습니다. 사진 다시 추가합니다.DSC00803.jpg


  • 오광환 2015.12.01 18:13

    Hong Lab 제작품은 우수하니까요. 동네에서는 항상 2차 문제가 발생합니다. 동이 좋아보입니다. 납은 피하고 싶고요.

    스타파티 백기동님 사진1의 마지막 사진입니다.(서천동 홈피) 무게추가 3개인데 균형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 홍두희 2015.12.01 21:12 Files첨부 (1)

    제가 쓸거라면 이렇게 만들겁니다^^  멀티 웨이트

    둥글게 만들기 어려우면 약간 모서리를 깍고, 그래도 손이 많이  가면 정사각형 ㅋㅋㅋ

    20151201.JPG



    탄소 60개의 풀러렌과

    예전에 들었던 미로로 되어있는 구슬에 실을 넣는 이야기에서 이런 생각이 나왔네요^^ 

  • 박창목 2015.12.01 22:01
    아이디어 좋으시네요.. ^^ 커다란 황동구슬 있으면 하나 만들어 보구 싶네요.
  • 홍두희 2015.12.01 22:19 Files첨부 (1)

    가지고 있는 추의 높이와 폭이 비슷하다면 이런 방법이 가장 심플하겠네요. 안쓰는 구멍에는 작은 쇠봉(큰 볼트 대가리,,)을 넣어 무게감소를 보충하고요.

    20151201z.JPG




  • 한호진 2015.12.02 20:24
    동이나 철이나 비중이 그리 차이나는것도 아니며 가격은 ㅎㄷㄷ 하지요.그냥 부식도 안되는 스텐으로 만드는게 최고입니다.재료비도 중간이고 강도도 있어 찌그러지지도 않죠.이번에 em200용 스텐으로 4개 만들었는데..아주 좋습니다.ㅋㅋ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0
466 GP 극축 맞추는 방법 file 김형석 2003.09.07 1049
465 Good News - 11월9일(일) 5호선 발산역 7번 출구 공항웨딩문화원 13시30분. 6 홍두희 2008.11.04 1318
464 FSQ-85ED 가 나올 모양이네요~~ 7 이상헌 2008.04.19 3246
463 FS-60C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구입하려구요. 11 오광환 2012.09.13 5058
462 FS-60CB를 지난주에 손에 넣었습니다. 5 오광환 2012.11.12 4706
461 from sydney Eun Jeong Park 2003.07.23 895
460 ETX 한글 매뉴얼 --출처는까먹었네요.. 어디더라.. file 유종선 2004.01.25 1077
459 ETX 잘 쓰시는지요..? 유종선 2004.03.01 915
458 EQ6 사고나다... 도와주세요. 6 조승기 2006.07.27 1043
457 EQ6 SynScan 사고기판 사진 4 file 조승기 2006.07.27 1085
456 EQ5 overhaul 완료.... 1 file 김준호 2005.08.01 1070
455 EQ-6의 관한리뷰 변성식 2004.01.02 1050
454 EOS 10D 구입완료 했습니다. 공대연 2005.03.21 1006
453 EM-200 컨트롤러 사용법 및 극축맞추기...자료입니다. 3 file 이수진 2006.09.20 1432
452 EM-200 컨트롤러 사용법 가르쳐 주세요...ㅠㅠ 5 윤종성 2006.09.18 1180
451 EM-10 테스트하러 나갔다 왔습니다. 유종선 2004.10.15 1009
450 e-mail변경 최미희 2003.11.13 1070
449 E-130의 굴욕 7 이수진 2008.03.09 1056
448 duhi's position LAW 'H-19+2M' 현재시간 간단 천정 적경좌표 홍두희 2005.03.18 1102
447 duhi sheet( 06년2월24일 생각한 관측대상 위치파악 도표) 1 file 홍두희 2006.02.24 1124
Board Pagination Prev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