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전에 일 끝내고 뭐할까 하다가 뭐 했습니다.
하려고 한것은 아닌데 하다보니 다 됐네요.
계획에도 없던건데.

지난 정기관측에 finder도 안 가지고 갔었습니다.
finder가 하나라서 쌍안경에 붙어있는거를 떼어내기가 귀찮았죠.
까짓거 내 성력이 얼만데 하고 깝죽거렸죠.
그날 박살났습니다. 5배는 더 고생했습니다.

배율이 없이 경통하고 수평이기만 한것이 있으면 좋을거라고 생각한적이 있었습니다.
파이프를 짤라서 고정해서 쓰기도 했지만 센타를 확인할수가 없어서 안 쓰고요.

센타를 확인할수 있는 1배율이 필요했습니다.
오늘 오후에.
지금 기뻐서 그림 올립니다.


재료는 5mm 투명 아크릴, 저항2개, 소켓1개,발광다이오드2개, 배터리입니다.

만들기위한 도구는 날카롭게 간 못2개, 못고정 막대같은거(콤파스를 만드려고),1.5mm,2mm,2.5mm,
3mm 드릴날과 드릴, 다듬는 줄, 납땜도구.

그림의 양쪽에 원형기스를 내었고 양쪽으로 발광다이오드가 조준됩니다. 옆에서 구멍을 내고요.

아직 ㄷ 자로 구부리지 않았습니다.  헤어드라이어나 가스불로 구부리면 됩니다.

바깥면을 검정색종이로 갑으면 됩니다.

사무실에서 불끄고, 더 어둡게 커피포트에 넣어서 보니까 원형모양만 잘 보입니다.

잘 될것 같습니다.

++ 6월6일 추가 ++
가스불로 달궈서 ㄷ 자로 구부렸습니다.
불빛의 밝기가 조정되게 가변저항도 달고요.
실전 test를 6월5일 밤에 해봤습니다.
별,원형빨간테두리,원형빨간이중테두리,눈 이런위치로 배열됩니다.
랜즈를 하나도 안써서 별,원형빨간테두리,원형빨간이중테두리 이 3개가 눈으로 볼때는
촛점을 각각맞추어야 합니다.
눈의 위치를 빨간이중테두리에서 5-8cm 떨어져서
원형빨간테두리에 눈의 촛점을 맞추면 눈앞의 이중테두리는 흐릿하게 보이지만 중앙의
위치는 잘 맞출수 있습니다. 촛점을 맞춘 원형빨간테두리에 기준성이 들어오게 맞추면 됩니다.
사격할때와 같은 이치입니다.
이중원형테두리의 안쪽테두리의 시야각은 2도쯤 됩니다. 바깥쪽 테두리의 시야각은 4도쯤 되고요.
즉 2도 정도의 저배율로(680mm 촛점거리에 25mm 아이피스(시야각 65도) 라면 65 /680/25 = 2.4도)
주경을 통해 본다면 finder 와 아이피스를 통해보는 시야가 같게되지요.
실제로도 그렇게 보이더군요.
실전 성공 입니다.

다음번 계획은  간단하게 filder 배율을 3배로 하던지 1배에서 광량만을 모을지 생각중입니다.
1배율에서는 광량이 작아서 어둡게(같게)보이니까요.
기존의 finder구조와는 전혀 다르게요. finder 의 촛점거리에 하나만 넣어도 되는거는 아는 이야기니까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회로

    지난해에 산 배터리가 지난번 관측회때 방전이 거의 다 되었습니다. 방전되기 전에는 자동차내의 시거짹에 연결시켜 충전했으나 방전이 많이 된 상태에서는 충전절류가 너무 많이 흘러서 충전시에 전선이 무척 뜨겁더군요. 그래서 충전할때는 휴즈를 동선으로...
    Date2003.03.26 By홍두희 Views16349
    Read More
  2. 자동 이슬 제거 콘트롤러(auto dew eraser)자료 공개

    03년 15회 스타파티때 선보인 자동이슬제거 콘트롤러입니다. 스스로 만드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공개합니다. 만드시던, 파시던 자유. 출처를 남기면 조금 고맙고, 아니어도 괜찮고. program용 hex코드는 계속 up-grade 하기때문에 메일주시면 드립니다...
    Date2003.08.27 By홍두희 Views10228
    Read More
  3. 등배 야간 파인더(1x night finder)자료 공개

    03년 15회 스타파티때 선보인 등배 야간 파인더입니다. 스스로 만드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공개합니다. 만드시던, 파시던 자유. 출처를 남기면 조금 고맙고, 아니어도 괜찮고. 설명서에서 아래사항이 up-grade되었습니다.(설명서에는 미반영) == 1.원...
    Date2003.08.27 By홍두희 Views7658
    Read More
  4. 라디오전파로 경위대를 움직인다.

    라디오전파로 경위대를 움직인다. 오랬동안 구상하던것을 오늘 1차 단계(1차;상하, 2차;상하좌우에 SIMPLE ONE BOARD)를 완성하였습니다. 가지고 있던 carton 경위대를 편하게 움직이는 겁니다. -- 호주머니에서 라디오 전파로 상하좌우를 움직입니다. -- -- ...
    Date2004.02.14 By홍두희 Views6756
    Read More
  5. 자동 이슬제거기 - 쌍안경에 부착한 모습.

    쌍안경(125미리)에 부착한 모습입니다. 이슬방지를 위해서 바닥을 흰 씰리콘으로 코팅했습니다. 바닥의 검은 것은 경통온도를 측정하는 부품입니다.
    Date2002.11.03 By홍두희 Views6012
    Read More
  6. 자동 이슬게거기(앞,뒤 그림)

    어제 usb web camera 가 싼(26,900)김에 샀습니다. kocom 회사 겁니다. 담에 코콤 카메라에 대해 잡답하고요, (코콤 회사 갔던예기, 전세살때 주인이야기, 적도의 가이드 스코프에 코콤 비이오폰 부착한 이야기) 이슬제거기 사진을 찍었습니다. 히터와 쌍안경...
    Date2002.10.28 By홍두희 Views5826
    Read More
  7. 반자동 이슬제거기와 손쉬운 이슬제거열선 제작 공개

    04년 설때 만든 반자동이슬제거기와 손쉬운 이슬제거열선입니다. 스스로 만드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공개합니다. 만드시던, 파시던 자유. 출처를 남기면 조금 고맙고, 아니어도 괜찮고. 문의사항은 h2d@unitel.co.kr, 24hr, 자작on-line지원은 무료. ...
    Date2004.01.24 Category태양계 By홍두희 Views5736
    Read More
  8. 자동 이슬제거기(옆 그림)

    옆에서 본 그림입니다.
    Date2002.10.28 By홍두희 Views4926
    Read More
  9. BST2조립설명서와 부품list, 부품구입정보, 기판조립과정사진.

    'B 셧더 TIMER 2' 기판 납땜과 조립 순서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하는 경우를 설명했습니다 기판은 2005년 4월 19일(06년 3월 20일과 동일)인쇄된 것입니다. 기판을 글씨가 보이는 곳을 향하게 하고 가로로 높니다. 극성이 있는곳(반대로 꼽으면 안되는 곳)만 주...
    Date2006.08.22 By홍두희 Views4878
    Read More
  10. 이것도 semi-final ; 카메라 B셧더 TIMER

    어제 유종선님 오셨으면 드릴려고 허겁지겁 프로그램 짰습니다. 사용자 설정 시간 SETTING 은 아직 안돼서 SEMI-FINAL입니다. 스타파티때는 완성할수 있습니다. 지금 이거로도 1/500 초부터 60분까지 21단계의 설정값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스타파티때는 소...
    Date2004.08.27 By홍두희 Views4405
    Read More
  11. 반자동 이슬제거기 제작 설명서

    2004년 1월24일 만능기판으로 만들어서 회로도등과 이곳에 올렸고, 04년 16회 스타파티때에 보여드린것인데 05년 4월에 기판을 몇개 떠놨습니다. 05년 10월 17회 스타파티를 맞이하여 손쉽게 제작할수 있도록 사진과 제작 설명을 하였습니다. 회로도는 04년 1...
    Date2005.10.29 Category태양계 By홍두희 Views4389
    Read More
  12. 2003년 첫 작품.

    2003년 1월1일 올해 첫 작품. I LIVE SAC 별.
    Date2003.01.01 By홍두희 Views4329
    Read More
  13. 미드 오토스타로 경위대 고투하기

    4월18일부터 4월25일까지 일주일 정도 매일 생각하며 손대니까 카톤 경위대를 오토스타로 구동하게 되네요. 자유게시판(현재 자유게시판에 있는데 천문정보로 언젠가는 가겠죠) 4월18일자 '오토스타 또 속이기.....' 에 생각하고 만든 과정이 있습니다. DS 모...
    Date2012.04.25 Category기타 By홍두희 Views4280
    Read More
  14. battery self-charger(12v 로 12v 충전하기)

    12V 로 1.8A 까지 충전시켰습니다. 정확히 말하지면 12V 가 아니라 12V~15V 까지 적용됩니다. 차량의 시거짹에서는 15V정도가 나오고, 배터리도 완전히 충전이 되면 15V 까지도 되니까요. 충전초기의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류제한장치...
    Date2006.01.07 By홍두희 Views4118
    Read More
  15. 범용 유니폴러 모터 구동 핸드콘트롤러 WISTAR 1축용 케이스버전

    스텝모터가 장착된 구형 적도의를 구동하는 핸드콘트롤러인 WISTAR(=WITSTAR) 를 볼펜통에 넣었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밤하늘정보-천문정보-자작정보-2012년7월5일자를 보세요. -- 7월10일 17시 추가 첨성대 현선생님이 찾아주신 NO-20-11(206) 케이스 (디마이...
    Date2012.07.10 Category기타 By홍두희 Views4069
    Read More
  16. night finder 초 speed 자작.

    오전에 일 끝내고 뭐할까 하다가 뭐 했습니다. 하려고 한것은 아닌데 하다보니 다 됐네요. 계획에도 없던건데. 지난 정기관측에 finder도 안 가지고 갔었습니다. finder가 하나라서 쌍안경에 붙어있는거를 떼어내기가 귀찮았죠. 까짓거 내 성력이 얼만데 하고...
    Date2003.06.04 By홍두희 Views3949
    Read More
  17. 7 x 50 쌍안경에 태양관측용 필터 만들어서 달기.

    현상된 칼라필름의 앞부분에 있는 까만것(빨강,녹색,파랑인가요, 모두 감광된것)의 빛 투과율은 전등불빛으로 실험해보니 약 50:1이었습니다. (실험은 오늘새벽 cds, 60w 전구, 16mm 원통, 기타 전기장치로 했습니다) 6월8일 15시 태양-금성-지구의 일직선 현...
    Date2004.06.08 By홍두희 Views3643
    Read More
  18. 16인치 경통개조 - 7월24일 16시30분부터 22시30분까지 3

    후다닥 2조각 냈습니다. 압축화일 받아서 한여름 저녁의 과정을 보세요 .
    Date2004.07.25 By홍두희 Views3638
    Read More
  19. GREEN LED POINTER, LED별 지시기 FINAL 버전.

    2006년 초여름에 랜턴과 고출력 녹색 LED로 만든 'GREEN LED POINTER'의 최종버전을 완성하였습니다. 2006년 8월 30일. 보다 작게 만들기 위하여 TEST를 하고 있지만 이 정도도 실용성이 있어서 정리합니다. 렌즈를 추가하면 SIZE를 줄일수 있습니다. 렌즈는 ...
    Date2006.08.30 By홍두희 Views3381
    Read More
  20. 16인치 경통개조 - 7월24일 16시30분부터 22시30분까지 2

    후다닥 2조각 냈습니다. 압축화일 받아서 한여름 저녁의 과정을 보세요 .
    Date2004.07.25 By홍두희 Views33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