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그대로 성운의 디테일을 조금 더 강조해 처리해보았습니다.
Blooming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고보니 스파이더 상도 훨씬 예뻐졌군요. ^^

아래의 이전 처리버전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입니다.

촬영정보는 얼마전 올린 벗고개 M45와 동일 ^.~
  • 안정철 2008.10.09 13:40
    무척 신기합니다..성운기가 확 살아나네요.. 어떤 처리를 하신건지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 공준호 2008.10.09 19:39
    ㅎㅎ 무슨 비방이 있는건 아니구요... 원판불변의 법칙은 천체사진에도 통하는듯 합니다.^^

    일단, Maxim에서 합성을 하면 무엇으로 저장하세요? 당연히 FIT 같은 floating 포맷으로 저장을 하셔야먄 다음에 재처리할 때에 원 데이터들이 살아있는것은 물론 기본적으로 아시지요?

    문제는 이 기본 데이터에서 8bit JPG로 가져오기이전에 어떤 처릴 하느냐가 되겠지요. 이 역시 Maxim상에서 모든 데이터를 다 가지고 작업을 하는것이 최선이라고 봅니다. 적당히 처리하고 나면 Tiff 같은 16bit에서 한번 그리고 JPG로 8bit 전환시에도 또 한번 복귀가 불가능한 변환이 생기죠.

    위의 첫 사진은 Maxim에서 커브 작업을 수차례 한 것입니다. 물론 원화가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결국 노이즈가 주 이미지를 압도하겠지요? 원화에서 충분한 S/N(signal to noise)비율을 확보해야만 수차례의 반복적인 곡선작업이 가능합니다. 이 곡선 작업시에 그냥 단순한 1 point spline curve를 잡지 마시고 밝은 부분을 강조시킬때는 윗(오른)쪽, 어두운 부분을 강조시킬때는 아래(왼)쪽을 상대적으로 포인트를 잡아 위로 올리면서 작업을 하면 됩니다. 복잡하게 들릴지는 모르나 사실 커브의 기본이라 아시는 분들은 싱겁다고 하시겠어요. ^^

    결국의 색깔의 상대적인 밸런스도 칼라밸런스로 잡을 수도 있지만 커브에서는 밝고 어두운 영역을 나누어 칼라밸런스를 잡을 수도 있으니 어찌보면 더 미세한 조정이 가능합니다.

    이런 최적화 기법들을 마스터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고 그냥 자꾸 가지고 장난치다보면 감이 오지않을까요? ^.~
  • 윤석호 2008.10.10 10:32
    같은 사진이 이렇게 달라진다고요? 그것 참 신기하네...
  • 오영열 2008.10.10 12:01
    영상처리 대가를 뵈옵니다...^^
  • 공준호 2008.10.10 12:04
    ㅎㅎ FIT 이미지에 담긴 엄청난 양의 (100MB+) 기본 데이터에서 8비트 JPG로 가는 경로상에 빛의 색감이나 밝기등 엄청난 양의 정보들을 가지고 Optimize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cooking을 맘대로 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구요, 오히려 optimize를 잘못하여 엉뚱한 사진이 될 수 있는 여지도 큰 것이라는 의미 정도가 맞습니다.

    정말 실제정보에 가깝고 계조 표현도 적확한 사진은 결국 하나의 optimization으로 통일되겠지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대부도 M46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11일 - 촬영장소 : 대부도 대남초교앞 바닷가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IS...
    Date2008.10.11 By안정철 Views1041
    Read More
  2. NGC891 ~~ by ST-402ME _벗고개 번개~~

    공준호님과의 단둘의 오붓한 번개~~ 하늘 상태 파악에 두시간 정도 소비한 후에 벗고개로 출동~~ 결과는 너무 좋은 하늘~~ 달이 지는 2 : 30 즈음 부터 본격적인 사진작업~~ 동이 트는 것을 보면서 하드 드라이빙~~ 2008.10.11 양동면 벗고개 Pentax 105SDHF ...
    Date2008.10.11 By조용현 Views1368
    Read More
  3. 25% 추가 광량의 위력! M31 Andromeda Galaxy

    지난번 작업시에 burning을 염려하여 제외하였던 6분 ISO1600노출분 4 cut을 포함시켜서 다시 작업해본 M31안드로메다 대은하입니다. 결론적으로, M31의 경우는 노광이주는 득이 실을 능가한다고 느껴집니다. Maxim에 의하면 약 25% 이상의 총 광량 증가가 나...
    Date2008.10.0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1578
    Read More
  4. NGC891 비네팅 제거.

    Maxim DL에서 수동 Flatten작업 후 결과입니다. Maxim에서 비네팅 제거시 가운데가 오히려 살짝 더 어두워지고 주변에 약한 링 형태로 비네팅이 이동하는데 이 경우도 예외는 아니지만, 봐 줄만 한듯.... ^^
    Date2008.10.09 By공준호 Views1196
    Read More
  5. M45 Pleiades, 성운의 디테일중심 처리버전!

    제목 그대로 성운의 디테일을 조금 더 강조해 처리해보았습니다. Blooming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고보니 스파이더 상도 훨씬 예뻐졌군요. ^^ 아래의 이전 처리버전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입니다. 촬영정보는 얼마전 올린 벗고개 M45와 동일 ^.~
    Date2008.10.0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616
    Read More
  6. 손오공 데려오기~~~~~NGC 2174 원숭이 성운

    날씨가 하늘은 좋은데 안개가 시야를 가리내요... 씽도 아주 좋은것은 아니구여~~ 주 망원경에 캐논 5D를 붙여보다가 삽질만하고 다시 SIG ST-2000으로 찰영을 시도했는데 광축과 씽 때문인지 별상이 부어 있내요.... - 호빔 천문대 - Date: 2008-10-08, 2:56...
    Date2008.10.08 By조인제 Views704
    Read More
  7. m-45(벗고개에서)-081007

    번개 후기는 적었고...흠 정관 후기를 적어야 하는데 돌아서면 까먹는 鳥頭의 한계..... 어제를 마지막으로 올겨울 다신 손 안대렸는데 다음에 냉장고로 다시한번 도전해야겠습니다. 별상이 요상하다 싶어 고민했는데 철수때보니 적도의와 밴드고정을 꽉 안채...
    Date2008.10.08 By한호진 Views1189
    Read More
  8. 김포 애기봉 태아성운 IC1848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8일 - 촬영장소 : 애기봉 두부마을 주차장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ISO80...
    Date2008.10.08 By안정철 Views1204
    Read More
  9. 김포 애기봉 Kiss me 은하.. ngc891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8일 - 촬영장소 : 김포 애기봉 두부마을 주차장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
    Date2008.10.08 By안정철 Views1207
    Read More
  10. 알마크 + NGC891

    2008 9 29 양평 벗고개 SMC Pentax 67 165mm F2.8 최대개방 450D w/ LPS-P2 w/o LPF ISO1600 3minx11 EM11T2j notouch 25% resize 가을철 쌍성으로 유명한 안드로메다 감마별인 알마크입니다. 보이시나요? (죄송합니다 -_-;;) 밑에 입술은하로 유명한 NGC891 ...
    Date2008.10.07 By이상헌 Views1307
    Read More
  11. M27 + M71

    2008 9 29 양평 벗고개 SMC Pentax 67 165mm F2.8 최대개방 450D w/ LPS-P2 w/o LPF ISO1600 3minx11 EM11T2j notouch 25% resize 왼쪽 밝은 두별이 화살자리의 화살이고 가운데 구상성단 M71. 오른쪽은 여우자리 일부분이고 M27. M27을 찾을때 여우자리의 'M...
    Date2008.10.07 By이상헌 Views1014
    Read More
  12. 회장님 봐주세요..sh2-203이맞나요?..Oh my mistake! ..달랑한장 펠리칸입니다.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2일 - 촬영장소 : 횡성 온누리펜션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ISO800 600초...
    Date2008.10.07 By안정철 Views15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