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촬영일시 : 2008년 10월 11일

- 촬영장소 :  대부도 대남초교앞 바닷가

- 마 운 트 : EQ6 Pro (EQ-mod),PC-direct cable
- 망 원 경 : ε-160,LPS-P2 ,전용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40D (w/o LPF)
- 가 이 드 : 이쁜이62, PHD,DSI color

- 노출정보 : ISO800  300초  5장

- 소프트웨어: nebulosity 합성, 포토샵 레벨  조정



겨울 밤하늘을 멋지게 장식하는 마차부자리에는 IC405라는 대상이 있다. 별자리를 이루는 오각형의 별 중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이오타성(Iota Aurigae)에서 동쪽으로 4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이 대상은 사진에서 보다시피 밝은 별 주위에 불타오르는듯한 성운이 위치하고 있는 아주 멋진 대상이다. 그래서 별명이 Flaming Star Nebulae.

붉은 성운의 가운데서 빛나는 밝은 별(AE Aurigae)은 지구에서 1,6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이 별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주변의 성운이 밝아져 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별빛에 의해 뜨겁게 달아오른 성운의 수소에서는 붉은 빛이 나오고, 성운의 푸른 빛은 단순히 별빛을 반사하여 나타나는 색깔이다. 마치 어두운 동굴 안에 켜놓은 작은 불꽃을 보고 있다고나 해야 할까?

재미있는 것은 IC405라는 이 어두운 성간성운(Interstellar cloud)을 밝혀주고 있는 AE Aurigae라는 별이 원래 태어난 자리가 이 곳이 아니며 더구나 빠른 속도로 질주하며 이 성운을 지나쳐 가고 있는 별이라는 점이다. 이 별이 원래 태어난 곳은 놀랍게도 오리온 대성운의 트라페지움 근처.

2백5천만년 전 두 쌍의 이중성이 트라페지움 근처에서 서로 강력한 중력의 영향을 주고 받았고, 이들 4개의 별 중에서  2개의 별이 떨어져 나왔다. 하나는 현재  비둘기자리에 있는 Mu Columbae라는 별이고 또 하나가 바로 AE Aurigae이다. 그리고 오리온 자리 근처에 남은 두 별은 현재 Iota Orionis라고 불리는 이중성으로 남아 있다. AE Aurigae는 트라페지움에서 부터 달려나와 초당 100km의 속도로 달려가고 있다. 2만년 후에는 IC405를 벗어날 것으로 추정한다. 그때가 되면 제 힘으로 빛을 낼 여력이 없는 암흑 성운인 IC405는 다시 어둠 속에 묻혀 버릴 것이다. 얼음 위에 쌓인 눈을 훑고 지나간 자리처럼 AE Aurigae가 지나간 자리만 남기고.

AE Aurigae는 햇불을 들고 동굴 속을 달리는 달리기 선수와도 같다. 치켜든 횃불에 또 어떤 새로운 성운이 별빛을 받아 어둠 속에 감춰 두었던 제 모습을 드러낼까? Just wait for 20,000 years!  

(참고: 2005년 4월호 Sky&Telescope)

  • 오영열 2008.10.11 15:52
    환상적이군요~^
  • 공준호 2008.10.11 22:39
    정말 멋진 대상입니다. 사진도 잘 나왔고, 설명도 참 재미있군요.^^
  • 조용현 2008.10.12 08:57
    하루에 많이 찍으셨네요
  • 이상헌 2008.10.12 10:27
    중심부가 잘 나왔네요. 설명이 재미 있습니다.
  • 유종선 2008.10.12 20:24
    이놈... 우쟈게 어둔넘이죠...배경하늘도 좋아야하지만 정말 노출을 충~분히 주어야 제 맛이 우러나오는 ...
    작년에 저도... 한번 찍어 봤었는데... 실패했었죠. ㅠ.ㅠ
    올해 다시 도전해 보럽니다.
  • 강문기 2008.10.13 10:05
    붉은성운기속에서 푸른 파장대가 잘 나왔군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90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803
1396 Sun (2) 낙조와 어선. ^.~ 9 file 공준호 2008.05.14 1512
1395 코페르니쿠스 9 file 유종선 2006.06.07 1512
1394 딥스카이 안들어봅네다? 풀칠하면 들어옵네다... 1 file 안정철 2009.06.25 1511
» 대부도 ic405 flaming star Nebula 6 file 안정철 2008.10.11 1511
1392 버블성운과 m52 산개성단 13 file 강문기 2008.11.05 1510
1391 구름속 백조자리 6 file 유종선 2007.10.09 1510
1390 정중앙 천문대 정관 인증 NGC6888 4 file 조용현 2008.09.01 1509
1389 딥스카이 [연습]M45 두번 째 5 file 오영열 2009.02.02 1508
1388 또패본 말머리. 5 file 한호진 2007.02.15 1507
1387 성운 M42 7 file 이상헌 2008.10.03 1506
1386 딥스카이 m13-포인트 적립 기념^^ 4 file 전영준 2011.04.14 1506
1385 성운 Christmas Tree Nebula 주변 4 file 강문기 2010.02.07 1504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