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달도 지역에 따라 색이 다른 것을 아십니까?

광물들이 고유한 색상을 가지고 있는데 태양의 반사광이 강해서 이것이 잘 안보이기는 하지만 분명 여러가지의 색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채도를 조절하면 이 색을 볼 수가 있는데요,

미국 NASA에서 운영하는 APOD(오늘의천체사진)에 단골로 작품을 올리는 사람 중에 Johannes Schedler란 친구가 있거든요.

이 사람의 칼라로 된 달사진이 예전에 APOD로 선정되었습니다.

http://antwrp.gsfc.nasa.gov/apod/ap060216.html

이것을 따라해 보았습니다.

이것을 만드는 방법은

http://www.atalaia.org/filipe/moon/colorofthemoon.htm

요기에 있고요.

Johannes의 작품과 월령도 같은 사진을 일부러 골라 처리해 보았습니다. 크기도 거의 똑같게 맞추었지요. 일부러 ^^

원본은 이것보다 500% 큽니다.

Johannes의 원본보다 더 커요. 이것으로 위안을 삼습니다.


달의 바다부분이 지구와 같이 푸른빛이라는거… 신기하지 않나요? 나만 신기한가???
그게 바다부분은 마그마가 분출되어 채워진 플러드인데 성분이 거의 티타늄이라 푸르게 보인답니다.
앞으로 달의 바다를 보시게되면 그게 다 "돈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009.10.29
서울 아파트 옥상
CN-212 카세그레인모드 + 파워메이트2배 (합성 F수 : 24.8)
ST4000XCM 카메라
  • 이상헌 2009.11.19 15:38
    와~~~ 컬러풀!!!! 원더풀!!!!
    APOD 사진보다 더 멋집니다.
  • 한장규 2009.11.19 18:15
    ~큰 사진이 큰 감동을 줍니다!!!!!
    고화질 사진방을 개설 할 때가 된 것 같은데...
  • 안정철 2009.11.19 19:28
    전에 사진 봤을땐 무작위로 칠한 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원본 보다 오선생님 사진이 더 좋아 보이는데요..^^
  • 오봉환 2009.11.20 09:42
    헌님/규님/철님 감사합니다
    올리고 나서 자세히 보니 엉망진창이군요
    좀 챙피해서 하루종일 연습해 봤더니 처리 기술이 좀 느는 듯 합니다.
    살펴보니 러셀크로만 이 친구도 이거 만들었는데 처리 방법이 꽤 다릅니다.
    다음에는 그 사람 방식대로 만든 걸 올려보지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4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5
22 기타 이론.. 가문의 영광이.. 10 file 오봉환 2009.06.29 2246
21 성운 화이트크리스마스 ngc2264 6 file 오봉환 2010.11.23 2207
20 성운 [3월정관] 여우목도리 ngc2264 11 file 오봉환 2011.03.11 2022
19 Wide Field 수차와 모자이크. 이거 꼭 해야만 하나?? 5 file 오봉환 2010.06.18 1987
18 태양계 계속 달 (큰 달) 6 file 오봉환 2009.06.15 1824
17 Wide Field 서울 하늘 아래 보름달 아래 7 file 오봉환 2010.07.28 1814
16 성운 달랑 한장으로? [Ngc-2244] 12 file 오봉환 2011.03.29 1741
15 성운 달밤의 캘리포니아 NGC1499 8 file 오봉환 2010.11.18 1712
14 태양계 신나는 달밤 (달은 계속 커집니다) 9 file 오봉환 2009.10.14 1657
13 Wide Field 보름달아래 서울하늘2 3 file 오봉환 2010.09.26 1632
12 성운 TOA first light-My first color M42 19 file 오봉환 2010.12.19 1584
11 태양계 첫번째 토성 3 file 오봉환 2011.04.01 1561
10 태양계 또또또 달 (또 큰 달 - 큰 것에 짜증나시는 분은 클릭 주의) 9 file 오봉환 2009.09.10 1514
9 Wide Field 이제는 별찍어야지^^ 준비운동중... 선생님 초빙합니다 8 file 오봉환 2010.06.16 1502
» 태양계 달도 지역에 따라 색이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4 file 오봉환 2009.11.19 1469
7 텔레익스텐더 삽질, 그리고 달 비의바다 일부 모자이크 2 file 오봉환 2009.05.08 1464
6 성운 접지요 뭐... 한잔 술과 함께... 8 file 오봉환 2010.10.20 1409
5 성운 블랙의 유혹 ic1396 6 file 오봉환 2010.11.19 1373
4 성운 모자이크 연습 ic1805 + ic1848 1 file 오봉환 2010.11.16 1232
3 처음 찍어보는 천체사진 7 file 오봉환 2009.04.06 1057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