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06.10.19 03:53

망원경과 전자기술

조회 수 1040 추천 수 9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미드의 gps 기능의 망원경을 보았습니다.
이름에 gps 가 있어서 현재의 경도와 위도만 자동으로 셋팅하는 것으로 알았는데, 3가지가 더 있더군요.

1)망원경을 수평으로 맞추는 기능(gps의 위도data와 함께 사용해서 천체의 적위값을 알지요)
2)망원경의 현지시간을 맞추는 기능(gps의 현재시간 data를 가져와서 표준시와의 차이를 알지요)
3)망원경을 북쪽으로 맞추는 기능(나침판이 들어있는지 신통하게 셋팅할때 북쪽을 잘 찿습니다)

2)번은 gps 가 많이 알려졌으니까 신기한 것이 아닙니다(원래는 무척 신기한 것인데, 알고나고-자주 쓰다보니까 신기함이 사라집니다, gps위성에서 동시에 시간과 data를 보네고, gps센서가 여러개의 위성신호를 분석해서 현재위치를 계산해내는 것이지요)

1)번은 쇠구슬을 사용합니다. 쇠구슬을 여러번 굴리면서 구를때와 안 구를때의 경사를 파악해서 수평이되는 위치를 찾습니다. 보다보면 장난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놀라운 발상이며 현실적인 기술입니다.

3)번은 자성을 띤 나침판도, 자성에 민감한 특수 반도체도 아닙니다. 아주 놀랬습니다. 원리가 무척 간단합니다. 그렇지만 구슬보다 더더욱 놀라운 발상입니다.

지구는 큰 자석입니다. 나침판도 자석입니다. 나침판의 자력이 지구를 못 밀어내고 나침판이 밀려서 고정되면서 북과남을 가리킵니다. 저는 전자나침판이 지구의 미세한 자력을 앉아서(고정되서) 측정하는줄 알았습니다. 가속도 센서나 속도센서만 움직이며 측정하는줄 알았습니다.  

발전기는 전기를 만들어 냅니다. 자석이 공간을 지나면 그 주위의 전선에는 전기가 생기는 법칙을 따릅니다. 미드의 gps 망원경에는 특수한 전선이 있고(성냥개비를 반으로 자른 크기), 이 부품이 움직이면서
지구의 자석과 반응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수평이면 전기를 발생못하고, 수직이면 전기를 제일 많이 발생시킵니다. 망원경위에 이 부품을 올려놓고 돌리면서 전기를 감지하고, 그 변화값을 측정해서 북쪽을 찾습니다. 현대카드 M 보다 1백만배 놀라운 이야기입니다.^^  전자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기초를 이해못하면 몸이 고생합니다..
  • 한호진 2006.10.19 09:10
    현데m카드.....있지만 이번에 선지급포인트만 채우면 꾸부리고 100토막내서 버릴겁니다.^^
    삐c카드를 써야죠.^^기초도 기초지만 날씨가 안좋으면 몸도 고생합니다.~~
  • 유종선 2006.10.19 13:19
    미드 GPS 망원경을 쓰면서도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사용합니다.
    차는 탄다..그러나 차는 모른다...
    에효. 이게 자랑이 아닌데... ㅡㅡ;
  • 이수진 2006.10.20 01:02
    정말 신기하게 북쪽을 찾아내는군요...
    막상 알고나면 간다하지만.. 처음 생각한 사람은 대단한것 같습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4
2666 고정 BOLT 흔적 없는 돕테일바. 3 file 한호진 2006.07.06 1039
2665 오늘 강남에서 맥주번개 4 이주영 2006.07.08 1039
2664 저도 개인 잡설 하나... 성해석 2004.06.29 1040
2663 [re] 주말에 유성을 보러 갈 예정입니다. 성해석 2004.11.19 1040
2662 오늘 번개출사 하실분? 2 변성식 2006.01.06 1040
» 망원경과 전자기술 3 홍두희 2006.10.19 1040
2660 서천동 오비멤버인 조상호씨가 별을보는 사람들 이라는 책을 내놨습니다. 4 김종길 2007.07.04 1040
2659 새벽 쌀쌀하지만 별보기에는 그만인 날이군요 곽태호 2008.01.02 1040
2658 나홀러 벙개 (2008년 6월 25일) 3 오영열 2008.06.26 1040
2657 산가림표 구상. 5 file 홍두희 2009.10.23 1040
2656 [re]스케치 양식 공유합니다 ^^ file 김형석 2003.08.29 1041
2655 [re] 감사합니다 ^^* 김형석 2003.09.16 1041
2654 [re] 사자 자리 유성우가 보이기는 했다는 군요. 유종선 2003.11.18 1041
2653 [re] 이사준비 김경준 2004.06.30 1041
2652 [re] 내것이 아니면서 내것 처럼 만들고 있는 두번째 b 셧더 timer. 홍두희 2004.07.23 1041
2651 오늘 홍회장님 사무실에 이슬제거기와 성도 코딩하러 갑니다. 같이 가실분이요. 4 공대연 2005.10.05 1041
2650 금요일 저녁7시공연예정인 표2장이 있어요 (공짜표) 4 file 변성식 2005.11.08 1041
2649 적도의+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2 장석민 2007.12.29 1041
2648 증거사진 -[re] 팥빙수번개-080725 5 file 홍두희 2008.07.26 1041
2647 [공유]천체영상전 사진 출품 하신 작가님 현황 - 2008년 10월 27일 21:18 현재 7 오영열 2008.10.27 1041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