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904 추천 수 32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은 밤만되면 하늘을 보는것이 버릇이 되었습니다.
(별로 나쁜버릇 아니죠?)(^_^)

초저녁 어스름한 무렵에 동쪽하늘에  달이떳는지.

달이 어느정도 남중해서 토성과 이중성(한선생님 그 때 그 이중성 이름이 뭐였죠?)이
올라오고 있는지..

그러면 근처학교운동장으로 조촐한 제장비 싸들고 나갑니다.

장비냉각시간전까지 달이떠있으면 저배율로 달을보고 좀시간이지나서 배율을 올려서
토성,이중성 등등을보며

그리고 임도에서 윤선생님의 장비로본 m13을 찾아보지만 도저히 못찾겠더군요..

그 때 당시의 시간과 방항을 육감으로 찍어서 하늘을 이리저리 뒤져보지만 잘 보이지가 않습니다.

비교적 하늘의 시상도 괜찬은데..(나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아는게 아직은 별로없어서  많이 배워야할것 같읍니다..(^_^;)

책도보고 인터넷도 뒤져보지만 도통성운성단은 찾기가 힘들더군요..

열권의 책보다 한분의 고수님의 도움이 절실히 느껴집니다.

모든분들 편한나이트 되시고 즐거운 관측 되십시요..





  • 유종선 2008.02.27 23:26
    이성일님의 만학의 길이 아름답습니다. ^^
    안시를 처을 할때의 막막함이 기억납니다.

    도통 기억력이 떨어지는데다가
    성도와 파인더의 모습이 두번 뒤집어 져있다는 것의 매칭이 정말 어려워서 스타호핑 진짜 어려웠죠.
    그게 사실 안시를 포기하게 만든 원인중에 하나였습죠. ^^;

    그렇지만 파인더를 이용한 스타호핑으로 원하던 대상을 찾고 희끄무레한... 남들이 보면 그게 뭬야? 할 대상을 자기 망원경으로 볼때의 환희란 정말 이루 말할수가 없었죠.

    그래서
    요즘도 간혹 간혹 안시라는 "유혹의 쓰나미"가 밀려오곤 합니다.
  • 한호진 2008.02.28 02:39
    별...눈으로봐도 좋고 노트북으로봐도 좋지요.어떤때는 장비에 문제가 생겼을때 얼씨구나~하는것도 나름재미지요.눈으로도 충분히 즐길수 있으니까요.
  • 윤석호 2008.02.28 03:54
    별 징검다리 건너는 것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간단한 장비만 추가하면 매우 매우 쉬워집니다.
    1. 등배파인더: 아무거나 OK
    2. 정립 파인더: 50mm 구경 (GS Opics것 좋습니다.)
    3. 적당한 성도: 저는 pocket sky atlas를 씁니다.
    한가지 성가신 것은 위에 2가지 설치하려면 볼트 구멍을 뚫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타 호핑 하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필드에서 배우는 것: 1시간이면 충분 충분
  • 홍두희 2008.02.28 08:15
    1시간? -> 천재 만학도,
    1시간 x 10번 -> 그냥 만학도^^
  • 윤석호 2008.02.28 11:34
    홍회장님, 만학도의 꿈을 꺽지 마시와요.^^

    한시간이면 어떻게 하는지와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아는데는 충분할 것이고, 그 다음부터는 혼자서도 스스로 익혀나갈 수 있을 거거든요.
  • 강문기 2008.02.28 16:19
    저녁에 하늘을 한번 쳐다볼수있다는것이 참 즐거운일입니다.
    회전판 성좌도도 처음 별보기를 시작했을때 도움이 많이 되었던것으로 기억됩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4
2026 빡센 관측일정 잡혔습니다. 11 한호진 2011.01.06 1101
2025 빨리 - 찰칵 - 찍어. 등등 1 file 홍두희 2011.12.16 2309
2024 빨리 정모 가고 싶네요. 2 김우준 2008.06.24 1061
2023 뽑뿌를 물리치다.. 3 김준호 2006.03.15 1052
2022 사고실험중 - 세탁기나 믹서기를 물이 있는 욕조의 큰 다라에 놓으면 아래집으로 진동이 적게 전달될까? 홍두희 2017.04.03 305
2021 사고실험중 - 지상에서 지구중력보다 큰 경우를 느끼는 장치는? 5 홍두희 2017.03.28 565
2020 사금같은 하루 3 한호진 2008.02.09 902
2019 사는게 참~~ 치열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5 유종선 2006.03.04 1022
2018 사라진 JP-Z ? 10 유종선 2008.11.17 835
2017 사라진 황금박쥐 5 김덕우 2010.03.15 901
2016 사람눈 밝으면 4 이상헌 2007.02.24 1101
2015 사설 천문대 하나 지을라면... 6 오영열 2012.02.13 2749
2014 사용한지 얼마 안된... 8 유종선 2007.07.20 864
2013 사자 자리 유성우가 보이기는 했다는 군요. 정한섭 2003.11.17 1068
2012 사자성어 1 한장규 2010.03.12 1070
2011 사자자리 유성우 2 김승현 2006.11.17 930
2010 사자자리 유성우 극대기 관련... 공대연 2004.11.10 907
2009 사자자리은하사진 비교. file 정민경 2003.12.15 1022
2008 사진 게시판에 1월 정관 5DMark2 동영상 올렸습니다 (내용무) 공준호 2009.02.19 2958
2007 사진 게시판에 정관 사진 링크(30장) 올렸습니다. 냉무 ^.~ 1 공준호 2008.06.04 913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