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1465 추천 수 13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제 국제천문대 가려다가 구름이 계속 오길래 포기하고 있다가 근처에 있는 별광과 함께 송파구의 한 주차장에서 보았습니다. 구름이 있었지만 밤 10시경부터는 구름양이 크게 줄어들어 2시간 정도 잘 보았습니다. 시상은 6/10 정도로 전체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았고, 따라서 목성 상도 쨍한 맛이 없었지만 그래도 그림자는 잘 보여주었습니다. 3개 모두 명기로 이름난 굴절 경통들인데도 그 정도였으니 별보기에 있어 하늘 상태가 가장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지요. 두 달 전인가 분당 양영고에서 WO 110mm 굴절로 보았던 목성과 그 때의 이오 그림자는 쨍그랑 유리 깨지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는데 어제는 WO보다 한 수 위의 망원경들인데도 그때보다 많이 못하더군요. 시상, 시상!

FC-65, FC-100, TMB-115. 시력이 매우 나쁘다 보니 (안경도수 -18) 목성처럼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대상을 볼 때는 남보다 훨씬 못보기 때문에 항상 아쉬운데 어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65mm 경통은 내게는 별로 보여주는 게 없었는데 같이 보던 이한일씨는 그걸로도 온갖 것 다 보더군요. 대표적인 것이 나중에 달 볼 때 플라톤 내부의 작은 크레이터들(하얀 희미한 점)이 FC-65로는 하나도 안 보이고, FC-100으로는 한개 + 한개 보였다 안 보였다, TMB-115로는 2개 + 2개 보였다 안 보였다 그랬는데, 한일씨는 FC-65로 한개, 두개, 세 개까지 세더군요. 쩝.

모두 경위대에 얹어서 보았는데 FC-100은 컨트라스트와 색감이 TMB-115 보다 좋아서, 컨트라스트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저는 115mm TMB보다 100mm FC가 보기에 훨씬 즐겁더군요, 시상이 좀 나쁜데도 약간 쨍한 맛도 더 있고. 가니메데의 그림자는 중앙을 한참 지나서 밖으로 빠져나갈 때가 다 되어가고 있었고, 이오 그림자는 이제 드리워지기 시작하는 시각이었습니다. 가니메데 그림자는 NEB(North Equatorial Belt: 적도 북쪽에 있는 진한 줄무늬로서 붉은 갈색으로 보임)로부터 북쪽으로 약간 떨어져서 지나가고 있었고, 이오의 그림자는 NEB 남쪽에 딱 붙어서 가고 있었습니다. 그 시간대에 이오 자체는 목성 가운데를 좀 지난 지점에 있었는데 한일씨는 115mm로 NEB를 약간 오목하게 파고 들어간 형태로 희미하게 보이는 것 같다고 했는데 저는 아무것도 안보이데요. 이한일씨가 차분하게 앉아서 확인하려고 하는 걸 제가 그 경통에 붙어서 더 못보게 했습니다. 질투나잖아요.^^

가니메데 그림자가 목성 끝으로 가자 같이 본 친구는 그 모양이 길쭉하게 보인다고 하더군요. 저는? 모르겠더군요. 쩝. 그리고 한 참 지나서 이오가 뾰루지 모양으로 목성 바깥으로 빠져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때가 참 예쁘지요. 시상이 좋으면 이오의 disk가 쨍한 보석으로 목성 옆에 딱 붙어서 나오는 걸 볼 수 있는데 어제의 시상은 그 정도의 상은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난 후에 달을 보았습니다.  달은 목성과는 비교가 안되게 컨트라스트가 강하지요. 그래서인지 구경이 15mm 더 큰 TMB가 FC-100보다 확실히 예리한 상을 보여주었습니다. 크레이터들의 경계선 부분들이 정말 칼로 베어 놓은 듯 하더군요. 상의 밝기도 TMB가 많이 더 밝았구요.

목성 위성 그림자가 두개 같이 있는 건 저도 처음 보았습니다. 기본 좋더군요. 사실을 8월 5일에 더 많은 현상이 있었는데 모르고 지나갔더랬습니다. 이제 목성 시즌도 한창 때가 지나가는군요.
  • 홍두희 2008.08.20 11:21
    목성하면 몇가지가 떠오릅니다. 본것과 볼것.
    본것 - 휴메이커 레비 혜성 충돌.
    (재)볼것 - 빛의 속도를 거의 최초로 근사치에 가깝게 측정한것이 목성의 위성을 이용한 뢰머(덴마크,이곳 제 글에 있음)님입니다.
    갈릴레이 위성 - 지구말고 행성에 있는 위성을 볼수 있다니 놀랄일입니다. 위성에 (자연)위성은 없을까요????(아폴로 달우주선은 위성의 위성^^)

  • 한장규 2008.08.20 11:51
    이번주부터 새로운 업무가 시작되어 주중에는 별 볼 가능성이 없을것 같은데, 자세한 관측기를 읽으니 머리속에서 그려지는것 같습니다^^ 한일군의 부재중이 들어와 있었는데 아마도 함께 관측중에...
  • 고영준 2008.08.20 14:01
    보셨군요~^__^ 전 집에서 전전긍긍하다 9시반경 구름이 좀 걷히는듯 해서 양영고 운동장으로 후다닥 달려갔는데....구름이 다시 끼더군요~;;; 한 30분여 하늘님의 동향을 파악하다 오락가락하여 고~홈~ㅜㅜ 집에서 이중창 넘어로 보이는 목성만 열심히 관측 했습니다.ㅎㅎ UWA 6.7 좋더군요...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30
3146 [re] 이번 정관에 될수 있으면 일찍오세요.. 최병일 2004.12.09 1059
3145 [re] 가고픈 그곳,, 김완기 2004.12.09 818
3144 오늘 정기모임은 없는건가요? 공대연 2004.12.15 949
3143 오늘(12월15일) 정기모임은 쉽시다. 홍두희 2004.12.15 839
3142 지리산 번개 참석합니다. 공대연 2004.12.16 839
3141 작년 11월 말에 가입한 권영민이라 합니다.. 권영민 2004.12.16 893
3140 [re] 작년 11월 말에 가입한 권영민이라 합니다.. 정한섭 2004.12.16 805
3139 혹시 회원님중에 다카하시 무게추 남는분 계신가요??? 유종선 2004.12.17 1270
3138 [re] 혹시 회원님중에 다카하시 무게추 남는분 계신가요??? 정중혁 2004.12.17 1098
3137 중원계곡... 유종선 2004.12.20 1089
3136 아이디어가 물씬 물씬 풍기는 카메라 촬영용 적도의 file 홍두희 2004.12.20 961
3135 장수천문대 번개관측_20041218 공대연 2004.12.20 1103
3134 [re] 중원계곡... 공대연 2004.12.20 811
3133 [re] 장수천문대 번개관측_20041218 박은정 2004.12.20 792
3132 [re] 장수천문대 번개관측_20041218 정중혁 2004.12.20 972
3131 수진씨 등업 조정되었습니다(냉무) 변성식 2004.12.23 838
3130 장시간 노출시 EOS 300D의 노이즈... 유종선 2004.12.23 1027
3129 [re] 장시간 노출시 EOS 300D의 노이즈... 정중혁 2004.12.23 1022
3128 [re] 수진씨 등업 조정되었습니다(냉무) 이수진 2004.12.24 859
3127 메리 크리스마스 file 조정래 2004.12.24 865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