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9개월 전, 영월에 살았던 이대암은 한국에서는 발견 못할 줄 알았던 혜성을 발견 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한국사람도 신혜성을 찾을수 있다는 것도 그 작은 카메라 랜즈를 통해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혜성발견 이후 한국아마추어천문은 희망를 품었습니다. 우리도 할수 있고, 할수 있는 사람도 많이 있다는 것, 우리도 선배가 있으며, 현재 그 모델이 우리 곁에 존재해 있다는 사실이 그것입니다.

이대암이 아니었더라면 21세기 한국아마추어천문이 과연 어느방향으로 흘러갈까 되집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서울천문동호회는 이대암의 C/2009 F6 Yi-SWAN 혜성발견을 기념하기 위해 4월 추진에 이어 11월(12월로 정정)에 정기관측회를 혜성 발견 장소에서 열었습니다. 매년 열리는 한국아마추어천문인의밤(스타파티)에서 한국아마추어천문동회연합회는 '09 올해의 천문인'으로 이대암을 선정하였습니다. 한국은 혜성 발견 국가 대열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선배가 이룩한 눈부신 과학 전통의 계승을 기대해 봅니다.

국산 혜성 C/2009 F6 이-SWAN 감사합니다.

서천동 회장 홍두희 2009년 12월23일.

--
아래는 윗글이 참조한 내용 입니다.

http://www.astronomy2009.kr/v2/iya2009_01.aspx

2009 세계천문의해 한국조직위원회 인사말 "2009 세계천문의해에 대한 많은 관심 감사드립니다"

400년 전, 피렌체에 살았던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완전무결한 줄 알았던 태양에 흑점이 있으며, 달이 매끄럽기는커녕 울퉁불퉁한 지형으로 뒤덮였다는 것, 작은 달들이 목성을 공전할 뿐 아니라, 토성에 ‘귀’가 달렸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은하수가 낱 별들로 이루어졌다는 것도 그 작은 망원경을 통해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망원경 등장 이후 천문학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우리 은하는 독립적인 별의 집단이며, 이러한 은하가 무수히 많다는 것, 우주에 시초가 있었으며, 현재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들이 그것입니다.

갈릴레이가 아니었더라면 17세기 이후 천문학이 과연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을까 하고 되짚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국제천문연맹과 유네스코는 천체망원경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09년을 세계 천문의 해로 지정했고, UN은 세계 천문의 해를 선포했습니다. 이어 우리 국회는 세계 천문의 해 지지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한국은 25m급 초대형 망원경을 건설하는 국가 대열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선조들이 이룩한 눈부신 과학 전통의 계승을 기대해 봅니다.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에서는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09년 한 해, 우리 국민들도 세계 최초로 기획된 지구촌 축제를 마음껏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09 세계천문의해 한국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 헌국천문학회장 강영운 헌국우주과학회장 양종만 헌국천문연구원장 박석재

  • 오영열 2009.12.23 15:28
    감사합니다. 이대암 선생님, 홍두희 회장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선배님들
  • 김덕우 2009.12.23 17:32
    회장님의 이타적 헌신,
    늘 마음으로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대암님의 혜성발견으로
    우리 대한민국의 관측 천문학이 비로소 반열에 오른 것 같습니다
  • 유종선 2009.12.25 22:22
    ㅡㅡ 저분들은 이대암님이 혜성 발견한 것이 창피한것일까요... 자기들이 아닌것이..?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6190
3526 이웃 좋다는것? 7 한호진 2007.08.14 925
3525 분실물 찾으러.... 5 한호진 2010.01.15 925
3524 새집 축하드립니다.. 2 전영준 2010.05.18 926
3523 날이 좋군요. 5 한호진 2010.06.02 926
3522 답글 주신 회장님 조상호님 총무님 감사합니다. 김형석 2003.09.17 926
3521 [re] 우~히~!!! 별 보았습니다. 유종선 2004.11.16 926
3520 잘들 계셨죠? 간만에 들어와 봅니다. 4 공대연 2008.01.17 926
3519 내일 맑을 거라고 봅니다. 9 윤석호 2008.03.13 926
3518 [re] 이런 이런 작전 변경입니다 - 날이 좋을듯.... file 오영열 2008.12.02 926
3517 [re] 망원경 빌려주실분 찿습니다. 성해석 2003.11.06 927
3516 기추신고... 15 한호진 2007.05.28 927
3515 정기 관측 못갔던 저는... 5 유종선 2007.10.15 927
3514 요즘 심심풀이로 한는 작업... 5 오영열 2008.06.11 927
3513 아마추어 행사니까 비가와도 즐겁지 않을까요. 홍두희 2003.08.23 928
3512 참석합니다. 강문기 2003.10.29 928
3511 [re] 김경준님, 유종선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공대연 2004.06.08 928
3510 [re] 아.. 지겨운... 구미생활... 성해석 2005.06.14 928
3509 오랜만에 뵈었습니다~ 6 file 정중혁 2007.06.19 928
3508 서.천.동 첫정모 7 이성일 2008.02.16 928
3507 점점 좋아집니다. 3 한호진 2009.10.14 928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