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11932 추천 수 142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무리 좋는 광학계라도 수평으로 들어오는 별이 촛점에 상을 맺을때는 무한소의 점으로 되지 않습니다.

별빛이 광학계를 거치면서 광학계의 경계면에서는 광학계를 통과한빛과 그러지 못한 빛과의 간섭때문에 회절현상이 일어나고
이 회절현상이 촛점면에 영향을 주어서 촛점을 뭉개버립니다. 빛이 파동의 성질이 있어서지요.
무한소가 아닌 일정한 크기를 발견자(증명?, 계산?)의 이름을 따서 에어리 디스크라고 하며 단위는 길이입니다.
광학계는 길이를 가지고, 회절은 파의 길이인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에어리 디스크는 상수 X 광학계상수 X 파장의 길이 로 간단히 나타냅니다.
최종적인 계산식은 에어리 디스크의 지름 = 2.44 X 파장 X 광학계의 F수 입니다.
이 계산식은 복잡한 함수식으로 부터 도출되었고(물리학의 광학부분), 위의 간단한 식은 원래 공식에서 다소 변형하여 손쉽게 사용되도록
정리한 것 입니다.

캐논 350D 의 경우 CMOS의 픽셀은 가로 22.2MM에 3456 개가 있습니다. 픽셀의 길이를 계산하면 22.2mm/3456 = 6.42um 입니다.
픽셀의 격벽칫수를 빼야 되는데   케논 cmos 센서의 자료를 구하지 못해서 그냥 계산했습니다.

별의 촛점의 크기인 에어리 디스크의 크기가 6.42um보다 훨씬 작아도 350d는 6.42um 크기로 바꿔준다는 겁니다. 350d를 쓴다면 광학계를
선택하실때 신중하여야 된다는 역설이지요^^
F5인 Seoul Astro Finder 를 예로 든다면 에어리 디스크는 2.44 x 5000A(옹스트롤,10의 -10승 미터) x 5 = 6.1um 이고 6.42um의 픽셀은 쓴
350d는 딱 맞는데 제격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별빛이 모두 cmos 정중앙에 오지는 않기 때문이고, 픽셀을 겹쳐서 있게되면 좀 큰 에어리디스크가
좋을수도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심도라고 할수 있는 촛점이 맺히는 영역에 대한 공부(어떤 광햑계의 어떤배율에서 촛점은 몇mm 영역에 있는가)와
빛의 밝기의 정량적 공부(룩스,루벤,칸델라,등성,ccd/cmos감도)를 한후에 후속글을 쓰겠습니다..


* * * * * *

추가(2006.10.4)
에어리 디스크에서 이제는 분해능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갑니다.
"분해능이란 인접한 두별의 각각의 에어리디스크가 겹치지 않는 한계에 위치하고 있어서 각각의 별을 구분할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제 생각이었는데 실은 인접한 2개의 에어리디스크의 골과 마루가 겹쳐져서 차이를 구분할수 있을 정도인것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반이 겹치는 상태를 분해능이라고 그럽니다. 이렇게 겹치면 가장 밝을때보다 26%가 작아지는 새로운 골을 보게 된답니다.
sin@(세타를 요 기호로 표기) = 1.22 x 람다 / D  --- (1식) 과
AIRY DISK 지름 = 2.44 x 람다 x F ---(3식)에서 (1)은 각도로 표기, (3)은 촛점에서의 지름을 표시하는 것이지요.
에어리 디스크의 크기가 6.1um 라고 한다면 이 에어리디스크와 3.0um떨어진 곳에 또다른 에어리디스크가 생긴다면 이경우에는 두별을 겨우
구분할수 있는것이고 F5인 2000mm 촛점거리의 Seoul Astro Finder 를 적용시키면 에어리디스크는 2.44 x 5000 x 10의 -10승 meter x 5 = 6.1um이고,
sin@ = 1.22 x 람다 / D 에서 1.22 x 5000 x 10의 -10승 meter / 0.4 meter = 0.00000153 이며 이는 라디안각도로 표시된겁니다.
이 라디안 각도표기를 우리가 별이 서로 떨어진 각도로 쓰는 도,분,초로 바꾸면,
degrees(도)로 바꾸면 sin@(degrees표기)= ( 1.22 x 람다 / D ) x (180 / 3.141592),
minute(분)으로 바꾸면 sin@(minute표기)= ( 1.22 x 람다 / D ) x (180 x 60 / 3.141592),
sec(초)로 바꾸면 sin@(sec표기) = ( 1.22 x 람다 / D ) x (180 x 60 x 60 / 3.141592) = ( 1.22 x 람다 / D ) x 206265 가 됩니다.
이것을 아아크 초( arc sec )라고 부르지요.
SAF 의 경우 이 값은 1.22 x 5000 x 10의 -10승 meter x 206265 / 0.4 meter = 0.31초가 되며 이 값은 그대로 분해능이 됩니다..

0.31초와 6.1um(6.1um는 0.62초의 각도를 가짐)의 값의 의미는 350d 디지털카메라로 이중성을 직촛점으로 찍는다면(350d의 픽셀값을 6.42um라고 하고)
0.31초나 0.61초의 이중성은 1개로 찍히고, 1.2초의 이중성도 분리되게 찍으려면 운이 따라줘야 되는 셈이지요.1.5초는 되어야 빈 픽셀이 생기게 되고요.
또한 분해능의 정의가 에어리디스크의 골과 골이 떨어지는 상태가 아니라 골과 마루가 붙어있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장비로
관측(촬영)을 하려면 망원경에 기재된 분해능보다는 훨씬분해능이 좋은 장비를 써야만 빈 픽셀을 만들수 있을것입니다.  

설명에서 sin@는 tan@가 정확한 표현인데 @가 작으면 sin@=@=tan@가 되기때문에 편하게 sin@로 썼습니다.


제가 처음 계산할때는 2@ 정도는 떨어져야 분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더군요. 겹쳐지더라도 구분을 할수있는 정도를 분해능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더 생각할것
이 계산은 아이피스나 눈에 있는 렌즈를 생각하지 않은 주경만의 계산입니다(사진 직촛점 에서는 주경과 상이 맺히는 면만 있으면 되지요).
아이피스와 동공에 있는 렌즈의 F도 영향이 있을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
-그동안의 경험으론 영향이 없을것 같기도 하고(아이피스와 동공에는 평행광이 아니니까)????

  • 이상헌 2006.10.02 08:53
    저 식을 직접 계산을 해 보셨군요. 탐구적인 열정은 누가 말리겠어요? ^^;

    아마츄어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학계가 회절상의 한계까지 수차를 조정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거 Test 해 주는 장비같은 것이 있지 않나요?
    반사경을 직접 자작하시는 분들은 가지고 계실텐데....
  • 홍두희 2006.10.02 09:41
    베플(굴절 망원경 안에 주경과 촛점면 사이에 끼워넣는 여러개의 빛 차단 격벽)이 에어리디스크에 영향을 줄것같은 생각도 드네요. 에어리디스크가 없다면 촛점면의 에너지 밀도는 무한대가 되는데 실제로는 에어리디스크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옛날 공부할때 무한을 현실에서 느꼈다가 살짝 비켜난 기억이었습니다.
  • 강문기 2006.10.02 10:51
    홍회장님 기하광학의 필요한부분을 잘 요약해주셨네요... 작은구경의 광학계에서는 항상 위에서 언급된 회절이 굴절을 방해하기에 해상도에 한계가 생기죠. 이것을 해결하기위해 Deconvolution이란 후처리를 수행하여
    회절에의한 한계를 넘으려는 노력을 합니다.(Maxim이라는 소프트웨어에 이 기능이 있는데 너무 단순화시킨 버젼이라 좋은 결과를 내기는 힘든것으로 보입니다. 제대로 된 deconvolution을 적용하려면 아주 많은 파라미터와 정밀한 psf(광학계) 추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빠졌더군요.
  • 유종선 2006.10.02 13:53
    더구나 맥심의 디컨벌루션은 화일 사이즈가 조금만 크면 시간이 엄청나게 걸립니다.
    작은 행성이나 달 사진에는 좋으나 DSRL등의 이미지에는 적용이 어렵더군요. ^^

    그나저나 Sin 이 나오는 공식을 보니 내가 정말 수학 다 까먹었다는 생각이 확실히 듭니다. ㅠ.ㅠ
  • 홍두희 2006.10.02 16:03
    디컨벌루션? 이 용어는 오늘 처음 들어보는데, 필요해서 고안한 방법이겠지요. 디컨벌루션 보드도 나오겠네요^^.
    mpec 보드가 나오다가 cpu 성능이 좋아지더니 들어가고, mp3 player 가 나오더니까 속도빠른 휴대폰에 당하고,,, user 가 많아지면 디컨벌루션 dsp 칩도 나오다가 기가 클럭 cpu가 나오면 또 들어가고,,, 돌고 도는 사이 한살 한살 착실히 먹어 갑니다.
  • 홍두희 2006.10.02 19:15
    98년인가 99년에 조상호님이 cool ccd를 만들어 보자고 170여 쪽의 제작책을 복사해 주었습니다. soft ware 때문에 미적거리다가 흐지부지 되었느데 그 덕에 공부좀 했지요. st-4 에 들어가는 ccd cuip인 TC211 , 보다 큰 TC245를 사용하고, DOS 로 돌리는 제작법인데 AUTO 가이드도 들어있고, 고리성운 중심성도 찍히고....페틸어 냉각에 수냉식 2차 냉각까지, 25도 상온대비 -25도에서는 다크커런트가 0.0071배 라네요. TC211의 픽셀 SIZE가 13.75um x 16um, TC245는 25.5um x 19.7um라고 되어 있네요.
    책 이름은 'THE CCD CAMERA COOKBOOK, - HOW TO BUILD YOUR OWN CCD CAMERA, WILLMANN-BELL사 미국'
  • 김덕우 2006.10.10 17:02
    한창때는 수학과외로 용돈도 벌고 했는데 이제는 사인 코사인 쎄타만 보면 머리가 돕니다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장비정보 [EQMOD] EQ6 EQMOD용 Direct Control Interface만들기 4 김준호 2008.02.28 5029
79 장비정보 [본문] 극축정렬 - 표류이탈법 설명 [플레시링크수정] 4 김준호 2008.01.18 5014
78 장비정보 [본문] 점상 촬영시 초점 거리에 따른 노출시간 계산 1 김준호 2008.01.16 4660
77 장비정보 레이저콜리메이터 광축맞추기. 7 file 한호진 2007.12.15 6125
76 관측정보 Test Report 1 file 이상헌 2007.12.07 5493
75 관측정보 카메라별 촛점거리별 화각 1 file 이상헌 2007.12.07 4075
74 자작정보 AstroDSLR을 만들자 - LPF 제거 (1) 7 김준호 2007.09.28 7200
73 장비정보 EM200 가이드 중간에 끼어들기 4 유종선 2007.03.19 8119
72 장비정보 심심할때 연습하세요. 표류이탈법... 5 김준호 2007.01.17 4387
71 장비정보 쉽고 빠르며 꽤 정밀한 극축 정렬법 5 김준호 2006.12.12 5326
70 장비정보 [re] 400D의노이즈 7 file 한호진 2006.12.07 3760
69 장비정보 400D의노이즈 7 유종선 2006.11.05 3955
68 관측정보 스타파티 강의자료 - 천체사진을 찍어봅시다. 3 file 이상헌 2006.10.30 3763
67 관측정보 천체사진 촬영이 적성에 맞는가 연습해 보세요(data 2개) 4 홍두희 2006.10.10 7842
» 관측정보 에어리 디스크(Airy DISK). 촛점면에 맺치는 별의 크기 + 분해능계산 7 file 홍두희 2006.10.02 11932
65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3) 18 file 이상헌 2006.09.30 4669
64 자작정보 별자리판 5 file 정중혁 2006.09.26 4614
63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2) 8 file 이상헌 2006.09.10 4525
62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 21 file 이상헌 2006.08.25 4364
61 관측정보 모기와의 전쟁... 3 김준호 2006.06.22 364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